관세 부과 공약에 中 견제 강화 예고, 시진핑과 대화 채널도 가동
도널드 트럼프의 제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을 계기로 미·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무역과 기술을 둘러싼 갈등이 재점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양국 정상 간 대화 채널 가동으로 협상 가능성도 열어둔 모습이라고 20일(현지 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트럼프는 취임 첫날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전기차 등 특정 품목에 대해서는 최대 60%까지 관세율을 높이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관세와 현명한 정책을 통해 수천 개의 공장을 미국으로 되돌아오게 할 것"이라며 강경한 대중 무역 정책을 예고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위협이 실제 이행보다는 협상력 제고를 위한 전술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애틀랜틱 카운슬의 조시 립스키 연구원은 "관세 발표는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자도 인준청문회에서 관세를 대중 협상 수단으로 활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기술 분야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규제 기조가 대체로 유지될 전망이다. 신미국안보센터의 애덤 통 연구원은 "트럼프가 첨단 반도체 수출통제 등 바이든의 주요 기술 규제를 계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핵심 광물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등과의 새로운 협력을 모색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안보·외교 분야의 경우,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강경파로 채워질 전망이다.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지명자는 모두 대표적인 대중 강경파로 꼽힌다. 이들은 인준청문회에서 한목소리로 중국을 "미국의 최대 위협"으로 규정했다.
특히 대만 문제가 새로운 갈등 요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은 최근 트럼프와의 통화에서 대만 문제를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선거 기간 대만 방어 공약에 모호한 태도를 보였으나, 내각 인사들은 대만 지원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갈등에 대비해 다양한 대응 카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광물 수출통제 강화, 미국 국채 포트폴리오 활용, 주중 미국 기업 규제 강화 등이 검토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양국은 그럼에도 대화 채널은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례적으로 시진핑을 취임식에 초청했고, 최근에는 4년 만의 전화 통화도 성사됐다. 한정 중국 국가부주석이 취임식에 참석할 예정이며, 무역과 기술, 대만 등 주요 현안에 대한 협상 가능성도 열어뒀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예측 불가능한 정책 스타일이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카토연구소의 에릭 고메즈 연구원은 "트럼프는 중국과의 경쟁을 지속하겠지만, 1기 때와 다른 방식을 택할 수 있다"며 "동맹국의 이익을 존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의 보편적 관세 부과 위협과 동맹국들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압박은 미국의 대중 견제 전선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통 연구원은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이 국가마다 다른 상황에서 더 강력한 규제를 제안할수록 동맹국들의 동참을 이끌어내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