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10월 중순 현물 ETF 일괄 승인 가능성... 기관 자금 유입으로 '두 자릿수' 상승 기대
리플, 美 OCC 국가은행 허가 결정 초읽기... 규제와 구조적 승인 통한 제도권 편입 가속화
"XRP 50달러 도달 가능"...'XRP 백만장자' 탄생 기대감 크지만 단기 변동성 경계 신중론도 공존
리플, 美 OCC 국가은행 허가 결정 초읽기... 규제와 구조적 승인 통한 제도권 편입 가속화
"XRP 50달러 도달 가능"...'XRP 백만장자' 탄생 기대감 크지만 단기 변동성 경계 신중론도 공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XRP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여부와 리플의 국가은행 설립 허가 결정이라는 두 가지 핵심 이벤트가 임박했기 때문이다.
XRP 가격이 두 자릿수 상승을 넘어 수십 배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이 시장을 뒤덮었다.
SEC, 10월 중순 XRP 현물 ETF '일괄 승인' 가능성
1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XRP 커뮤니티의 최대 기대는 단연 현물 XRP ETF 승인이다. SEC는 이르면 오는 18일부터 그레이스케일, 21셰어스, 비트와이즈 등 7개 발행사가 신청한 현물 XRP ETF 건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특히 그레이스케일의 XRP 신탁을 ETF로 전환하는 프로젝트의 마감일이 18일로 가장 빠르다.
분석가들은 SEC가 그레이스케일 신청에 대해 더 이상 결정을 미룰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승인 또는 거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만약 승인될 경우, SEC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사례에서 보였듯이, 보류 중인 모든 신청 건에 대해 하루 만에 일괄 승인을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ETF가 승인되면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이 XRP에 대한 규제된 접근성을 확보하게 돼 막대한 기관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당시와 비슷한 가격 급등 흐름을 XRP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블룸버그의 한 분석가는 XRP ETF 승인 가능성을 사실상 100%에 가깝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리플, 美 통화감독청(OCC)의 국가은행 허가도 '초읽기'
현물 ETF와 더불어 XRP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두 번째 이벤트는 리플의 미국 통화감독청(OCC) 국가은행 설립 허가 심사 결과다. 리플이 지난 7월에 제출한 이 신청에 대한 120일의 결정 기간이 이번 달에 마감된다.
허가가 나오면 리플은 미국 내에서 연방 인가를 받은 은행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는 금융 시스템 내 영향력 확대와 RLUSD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에도 큰 동력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리플과 XRP는 불과 몇 주 사이에 규제적 승인(ETF)과 구조적 승인(은행 허가)이라는 두 가지 획기적인 발판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맞는다.
"XRP 50달러까지 상승"... 커뮤니티 'XRP 백만장자' 기대감
시장 분석가들은 ETF 승인이 이뤄질 경우 XRP 가격이 두 자릿수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첫 ETF 출시 시 XRP 가격이 "22달러에서 50달러 사이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또 다른 전문가는 초기 유입만으로 가격이 20~30달러 범위로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XRP 선물 상품의 거래량이 하루 만에 수백만 달러를 기록한 점은 현물 ETF의 영향력이 훨씬 클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낙관론은 'XRP 백만장자 탄생'에 대한 기대로 이어졌다. 현재 9만 4,000개 이상의 XRP를 보유한 계좌가 3만 5,300개 미만인데, XRP 가격이 11달러까지 치솟을 경우 이 보유자들이 백만장자가 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기준이 된다. 심지어 50달러까지 상승하면 2만개의 토큰을 가진 사람도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물론 50달러 도달은 현재 가격의 17배 이상 상승을 의미하는 '험난한 여정'이지만, 전문가들은 ETF 승인이 장기 투자자들에게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한다. 다만, 이더리움 ETF 승인 후에도 사상 최고가 경신까지 1년 이상 걸렸던 점을 예로 들며, ETF가 XRP 가격에 즉각적이고 엄청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가능성 또한 여전히 남아있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