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KB증권 "두산에너빌리티, 美 원전 협력 확대로 인한 수혜 기대"


두산에너빌리티 CI. 사진=두산에너빌리티이미지 확대보기
두산에너빌리티 CI. 사진=두산에너빌리티
KB증권은 18일 두산에너빌리티에 대해 미국 원전 협력 확대로 인한 수혜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영국 정부는 미국과 양국에서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 기간 단축을 위해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에 소요되는 기간을 3~4년에서 2년으로 대폭 단축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협정인 가칭 ‘첨단 원자력 에너지를 위한 대서양 파트너십’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문 기간 체결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향후 자국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원전 신설 등에 대한 민간 투자, 거래 활성화 위한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며 “미국 엑스 에너지와 영국 센트리카 간 JDA(조인트 개발협약)을 체결하고 잉글랜드 하틀풀 부지에 최대 12개(6GW 규모)의 첨단 모듈형 원자로를 건설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영국 부동산 투자사 트리탁스와 프랑스 EDF, 미국 홀텍은 노팅엄셔에 있는 구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SMR(소형모듈원자로)로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행보는 지난 8월 25일 한미정상회담 이후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체결된 4건의 MOU(한수원, 두산에너빌리티, 엑스에너지, AWS 간 SMR 밸류체인 MOU 등)에 이은 것이다.

정 연구원은 “글로벌 원전 설비 규모는 2024년 377GW에서 2030년 445GW, 2050년 최대 992GW로 26년간 2.6배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는 2024년 제시되었던 전망치 950GW 대비 4.42% 확대된 수준”이라고 짚었다.

또 “가장 우호적인 시나리오 하에서 SMR은 2050년까지 신규 설치되는 원전 설비의 24%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북미지역의 경우 2024년 110GW에서 2050년 최대 236GW까지 1.14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최대 시나리오 하에서 증설되는 신규 설비의 20.5%가 북미 지역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진행 중인 한국 및 영국과의 원전 협력 협정에서 두산에너빌리티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엑스에너지 및 테라파워 등의 설계업체가 자주 거론되고 있다는 점 또한 유의미하다는 게 정 연구원의 분석이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