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주째 상승률 감소...강남3구·마용성 모두 상승세 약화
경기도 주요 지역도 상승세 '주춤'...과천·분당 등 상승률 대폭 감소
6·27 대책과 3단계 DSR 시행...매수 관망세 심화
경기도 주요 지역도 상승세 '주춤'...과천·분당 등 상승률 대폭 감소
6·27 대책과 3단계 DSR 시행...매수 관망세 심화

1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17일 발표한 7월 둘째 주(7월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를 살펴본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0.19% 오르며 직전 주(0.29%) 대비 상승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3주째 상승세가 약해졌다.
자치구 별로는 강남구가 0.34%에서 0.15%로 낮아졌고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강동구(0.29%→0.22%)도 가격 상승폭이 줄었다.
직전 주에 0.70%를 기록하며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성동구는 일주일 만에 0.45%로 줄었다.
같은 기간 마포구(0.60%→0.24%)와 용산구(0.37%→0.26%)도 상승폭이 약화됐다.
양천구(0.55%→0.29%), 영등포구(0.45%→0.26%)도 상승폭이 눈에 띄게 줄었다.
서울에서 상승폭이 커진 지역은 중구(0.16%→0.18%)와 도봉구(0.05%→0.06%) 2곳이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0.39%)가 2주째 상승폭이 둔화하며 2주 전(0.98%) 대비 상승률이 절반 아래로 꺾였고 성남시 분당구(0.40%)도 2주 전(1.17%)보다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수도권 전체로는 0.11%에서 0.07%로 오름폭이 감소했다. 서울과 경기(0.03%)는 가격이 상승했고 인천(-0.03%)은 하락했다.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 관계자는 "6·27 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계절적 비수기가 겹쳐 거래 심리가 위축되고 추가 대책을 기다리는 관망세가 커져 가격 상승률도 둔화하는 양상"이라며 "앞으로도 상승률 둔화나 보합 국면 진입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직전 주(0.01%) 대비 소폭 확대된 0.02%로 조사됐다.
서울은 지역·단지별 혼조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는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면서 전셋값이 0.07% 올랐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0.08%) 대비 축소됐다.
수도권 전체 전세가격은 0.03% 오르며 전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