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DL이앤씨, ‘무게 1만t’ 샤힌 프로젝트 PAR모듈 설치 성공

3D스캐닝 기술로 정밀제작…목포서 만들어 울산까지 운송
육로에선 1시간에 1㎞씩 이동…“새로운 영역에 진출했다”

DL이앤씨는 국내 석유화학업계 사상 최대 규모 투자인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DL이앤씨가 설치한 PAR 모듈. 사진=DL이앤씨이미지 확대보기
DL이앤씨는 국내 석유화학업계 사상 최대 규모 투자인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DL이앤씨가 설치한 PAR 모듈. 사진=DL이앤씨
DL이앤씨가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에 쓰이는 대형 모듈을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DL이앤씨가 설치한 모듈의 무게는 총 1만t에 달한다.

DL이앤씨는 국내 석유화학업계 사상 최대 규모 투자인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PAR 모듈은 플랜트의 원료와 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번에 설치한 PAR 모듈은 울산 온산산업단지에 석유화학 시설을 짓는 샤힌 프로젝트를 위해 목포 모듈 제작장에서 옮겨졌다.

DL이앤씨는 지난 2월부터 10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모듈을 운송했다. 길이 47m, 너비 22m, 높이 36m에 이르는 대형 모듈을 포함해 총 17개다. 옮긴 모듈의 무게는 모두 1만t에 이른다.

DL이앤씨는 모듈을 정교하게 제작하기 위해 3D 스캐닝을 도입했다. 3D 스캐닝은 레이저를 발사한 뒤 대상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샤힌 프로젝트 현장을 목포 모듈 제작장에 3D로 완벽히 구현해 냈다. 여기에 지형지물을 고려한 맞춤형 모듈 제작이 함께 이뤄졌다. 규격에 딱 맞춰 제작된 모듈 사이 간격은 3㎜를 넘지 않았다.

이어 모듈을 바지선에 실어 울산신항까지 450㎞에 달하는 거리를 운송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이 작업은 쉽지 않았다”며 “모듈을 옮기는 동안 무게 중심이 수시로 바뀔 수 있어 파손·전복 등의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파도와 바람, 조류의 영향을 받는 장거리 해상 운송은 더욱 정교한 하중 분산이 요구됐다. DL이앤씨는 모듈의 체적, 무게 중심에 따라 고박(묶는 작업) 위치를 선정하고 특수 제작한 받침목과 고정끈으로 포장하는 등 전문적인 해상 운송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했다.

모듈 설치의 최종 관문은 육상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울산신항에 도착한 모듈을 샤힌 프로젝트 현장으로 옮길 때는 모듈 트랜스포터(SPMT)를 동원했다. 모듈 트랜스포터는 주로 조선소 등에서 큰 선박이나 대형 구조물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특수 운송 장비다.

진동을 최소화하는 초저속 운송으로 모듈을 2㎞ 움직이는 데 2시간이 걸렸다.

유재호 DL이앤씨 플랜트사업본부장은 “석유화학 플랜트 중 샤힌 프로젝트라는 새로운 영역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치밀한 사전 준비와 과거의 모듈 제작·운송 노하우, 전문 인력 덕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