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부동산 정책, 조율이 중요하다

서울시가 한강 벨트 등 집값 상승 지역에 19만8000가구를 공급하는 대책을 내놨다.
이를 포함해 2031년까지 총 31만 가구를 민간 주도로 착공한다는 게 서울시 구상이다.

정부의 9월 7일 부동산 공급 대책에도 강남권과 한강 벨트의 집값이 잡히지 않자 내놓은 후속 조치다.

서울 집값 상승의 근본 원인인 인기 지역에 대한 공급을 늘리는 게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마포나 성동 등지로 확대하는 규제책보다 낫다는 판단에서다.
자료:한국부동산원/ 그래픽=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부동산원/ 그래픽=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가격은 9·7대책 이후에도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4주 연속 오름세다. 특히 서울 핵심 지역일수록 가격 상승폭이 가파르다.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만 총 13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국토부의 9·7대책이 약발을 다한 모양새다.

물론 서울시의 대책으로 단기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긴 힘들다. 착공에서 입주까지 최소 7년에서 10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각종 절차를 간소화하면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구역지정과 조합설립 이후의 사업시행 인가부터 이주 단계까지 속도에 중점을 둔다는 의미다.

통합심의 전 진행하던 환경영향평가 초안 검토회의를 생략하면 사업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재개발 임대주택 세입자 자격 조회도 1회만 실시하면 되고, 추정 분담금 검증 절차도 마찬가지다.

특히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서 간 이견을 조율하는 역할도 조합 대신 서울시가 담당할 수 있다.

문제는 국토교통부와의 엇박자 정책이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같은 날 서울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하거나 세제를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부동산 투기에 대해선 강력한 제도적 수단을 동원한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한 셈이다.

하지만 서울시와 국토부 간 부동산 문제를 보는 시각이 다를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도 있다.

서울시와 국토부 간 정책 조율을 강화해 단기적인 가격 안정책과 장기적인 공급 대책이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