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소된 96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를 비롯해 공무원의 행정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도 포함돼 있다.
전소된 시스템 복구까지 정부의 홈페이지를 통한 업무 처리나 민원 서비스 등 이용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는 일단 대전에 있는 국가 정보 업무 시스템을 대구 분원 내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하는 방안까지 검토할 정도다.
이번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3년 전 경기도 판교 SK C&C의 데이터센터 사고와 유사하다.
당시에도 데이터센터 전기실 내부의 배터리에서 불이 나는 바람에 입주 기업인 카카오의 카카오톡 등 서비스까지 중단됐다.
사고 이후 정부는 데이터센터나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른 복구를 위한 이중화 의무를 법으로 강제하는 조치를 취했다.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을 개정해 데이터센터와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주기적인 감독도 의무화했다.
하지만 정작 정부 전산망에 대한 관리나 감독은 소홀했다. 2년 전 지방행정 전산망 먹통 사태 당시에도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진척되지 않고 있다.
관련 예산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게 이유다. 화재의 원인인 리튬배터리에 대한 관리 대책도 마찬가지다.
지난 6월 발생한 아리셀 화성 공장 화재로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리튬배터리 사고조차 잊은 모양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전제품부터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쓰인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수명도 긴 게 장점이다. 반면 과충전이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열폭주와 화재에 취약하다.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진압은커녕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올해 상반기에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사고만 300건에 이른다.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업체에 대한 안전성 기준을 높이는 게 우선이다.
이와 함께 배터리 화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점검도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