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흑자 못 내 차별받아"…배터리 업계, 정부 지원 절실 호소

K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 위한 토론회 열려
투자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 필요성 논의
김세호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글로벌 배터리 시장 변화와 K-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정희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김세호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글로벌 배터리 시장 변화와 K-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정희 기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직접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중국 업체와의 경쟁 등 치열해지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고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에 '구조 신호(SOS)'를 보낸 것이다.
김우섭 LG에너지솔루션 전무는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주최한 '글로벌 배터리 시장 변화와 K-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배터리 산업은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 유일하게 흑자를 내지 못해 투자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차별받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관계 당국이 더 큰 의지를 갖고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 현행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는 흑자가 나야만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적자가 나고 있는 배터리 업체들은 지원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한다.

이날 업계는 직접 환급형 세액공제 또는 제3자 양도, 정책금융 확충과 대상 확대, 국가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등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노명호 삼성SDI 그룹장은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다.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많이 힘든 상황이 될 것"이라면서 "한정된 자원으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데, 배터리 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동현 SK온 팀장은 "직접 환급이 어렵다면 제3자 양도를 가능하게 하고, 그마저도 안 된다면 현금이 아닌 크레딧 형태로 지급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병현 WCP 부사장은 "직접 환급제라든지 이런 제도를 통해서 현금 흐름이 좀 돌 수 있게 해준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세호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파격적인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면서 "세액 혜택 실효성 강화, 정책금융 확충과 대상 확대, 국가 R&D 투자 강화, 배터리 사업 인프라 확충, 배터리 수요 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