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불확실성 해소...대등한 경쟁환경 확보"
"조선·배터리 등 전략산업 확장 계기"
"국내 투자 확대...기업법안 신중히"
"조선·배터리 등 전략산업 확장 계기"
"국내 투자 확대...기업법안 신중히"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6개 경제단체는 31일 논평을 통해 "경제계는 대미 통상 협상 타결을 환영한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한·미 경제협력을 포함한 양국 관계의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합의는 우리 기업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다른 주요국과 대등하거나 더 나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평가다. 경제단체들은 "이번 합의는 수출환경 불확실성 해소는 물론,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서 주요국과 같거나 더 좋은 조건에서 경쟁하는 여건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으며, 추후 발표될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 관세에 대해서도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제 6단체는 이번 합의가 산업 전반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에 발표된 양국간 산업협력 고도화를 위한 펀드는 우리 기업들이 조선,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에너지 등 전략산업 분야에서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데 있어 중요한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면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제조 경쟁력과 미국의 혁신역량, 시장을 결합하여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시장을 크게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업들의 국내 투자 확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계는 "경제계는 기업환경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국내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더욱 힘쓸 것"이라며 "이를 위해 최근 국회에서 논의중인 기업 관련 법안이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신중한 검토를 희망한다"고 했다.
경제 6단체는 정부를 향해 향후 협상에서도 기업의 실익을 중심에 두고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우리기업의 미국내 경영환경이 더욱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간 협상에 지속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