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SK텔레콤,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유료화 도입

SK텔레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SK텔레콤이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 유료 서비스를 본격 도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유료 서비스 도입으로 이용자는 이프랜드 내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호스트를 후원할 수 있게 됐다.

이용자는 이프랜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유료 재화인 '스톤'을 구매할 수 있다. 스톤은 앱스토어에서 인앱 결제로 구매할 수 있으며, 포인트는 기존과 동일하게 출석, 미션 수행, 이벤트 참여로 획득할 수 있다.

유료 재화 스톤은 소장 가치가 높은 차별화 아이템 구매 및 호스트 후원에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특정 이프홈을 방문하거나, 이프스퀘어에서 열리는 대규모 밋업 행사에 참여해 호스트를 후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료 재화 포인트는 기본 아이템 구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경제시스템 도입으로, 이프랜드 인플루언서들은 이프홈과 이프스퀘어에서 열리는 밋업 행사를 통해 스톤으로 후원을 받아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이용자가 후원하고 싶은 인플루언서에게 스톤을 제공할 경우 인플루언서의 밋업 개설과 이용자의 후원 참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코스튬과 같은 아이템 제작을 통해서도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크리에이터들은 코스튬을 이프랜드 스튜디오를 통해 제작하고, 이프랜드의 자체 심사를 거쳐 코스튬 상점에 업로드해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프랜드에 1만6000여개의 신규 프리미엄 콘텐츠 추가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이프랜드에 1만6000여개의 신규 프리미엄 콘텐츠를 추가했다고 전했다.
이프랜드 속 이용자의 개인 공간인 이프홈을 위한 캠핑과 파티, 우주, 최신 유행 홈스타일링 등 4가지 테마 맞춤형 아이템으로 캠핑 테마의 경우 플레이 아이템인 낚시 연못이나 대형 텐트, 캠핑카, 캠핑의자 등 재미있는 캠핑 관련 아이템, 파티 테마의 경우 풀파티를 위한 대형 수영장과 풍선 아이템, 미러볼과 턴테이블, 스피커, 파티용 의상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모션 상품도 추가됐다. 유명 아이돌의 안무, 이프랜드나 다른 SNS에 공유할 수 있는 챌린지와 밈, 친구들과의 메타버스 속 대화를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줄 감정 표현 등 다양한 모션 아이템들을 이프랜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내가 좋아하는 K팝 스타를 볼류메트릭으로 만나는 서비스도 본격 도입됐다. SK텔레콤은 걸그룹 시크릿넘버 멤버 6명과 보이그룹 킹덤 멤버 7명의 볼류메트릭 피규어를 우선 선보이며 이후 다른 그룹들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프랜드에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부터 글로벌 아트 컴퍼니 핀즐(PINZLE)까지 다양한 IP들과의 제휴를 통한 색다른 아이템들도 도입된다. 패션 브랜드의 경우 실물 제품과 동일한 아바타 코스튬이나 브랜드 정체성을 강조한 꾸미기 아이템들로 이르면 11월 중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아트 컴퍼니의 경우 이프홈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아트월이나 조형물 형태 예술 아이템들로 채워진다.
이러한 추가 콘텐츠와 서비스 도입으로 이프랜드는 더욱 다채롭고 풍성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거듭나게 됐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들이 더 즐겁게 이프랜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이프랜드에 NFT 아이템 대거 도입

SK텔레콤은 이프랜드에 대체불가토큰(NFT) 아이템을 대거 도입했다.

NFT 아이템으로는 이프랜드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자체 기획한 의상, 헤어장식 등 아이템은 물론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 등 국보 문화재도 제작된다.

NFT 아이템은 이프랜드 내에서 아바타의 코스튬이나 이프홈의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한 NFT 아이템은 이프랜드에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새로 선보이는 웹3 지갑 'T월렛'에 보관하고 조회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NFT 아이템 도입과 함께 이프랜드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자체 기획한 코스튬들과 헤어 장식 등 다채로운 NFT 상품도 선보인다.

또한 NFT 아이템에는 성북구 소재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국보 청자 모자원숭이형연적과 국보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간송미술관의 대표 작품인 석호 한쌍 등이 포함돼 이용자들이 국보급 문화재를 이프랜드에서 보다 쉽게 접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SK텔레콤 양맹석 메타버스CO 담당은 "이번 경제시스템 도입은 이프랜드에 프리미엄 콘텐츠 제작과 소비가 함께 이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들이 더 즐겁게 이프랜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의 이프랜드 유료 서비스 도입은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의 수익 창출 생태계 구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도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경제시스템을 도입하고, NFT 등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발굴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