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자료 조사에 따르면 EV9은 지난 6월 19일 공식 출시된 이후 6월 665대, 7월 1682대, 8월 551대 등 출시 이후 3개월간 약 2900대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3개월간 신규 등록된 EV9 2898대 중 2199대(75.9%)는 자가용 목적으로 등록됐고, 이어 렌트 697대(24.1%), 관용 0.1%(2대) 순이었다.
소비자 유형별로는 개인이 50.7%, 법인·사업자가 49.3%로 절반 수준이 법인 차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 모델별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어스로 1725대가 팔려 전체 비중의 59.5%를 차지했다.
앞서 기아가 5월 1만367대를 사전 계약해 업계의 이목을 크게 끌었지만, 비싼 가격 탓에 공식 출시 이후 사전 계약자 중 상당수가 이탈하면서 실제 판매 대수는 30%를 간신히 달성했다.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는 같은 차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발목을 잡았다.
EV9의 판매 가격은 7337만원부터 시작해 여기에 보조금을 적용하면 6000만원대 후반으로 가격이 내려가지만,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3896만원), 기아 카니발(3150만원) 등 비슷한 크기의 다른 모델과 비교하면 여전히 2배가량 높은 가격이다.
또 다른 이유는 국내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EV9이 출시된 시점은 국내 신차 인기도가 전기차는 감소하고 하이브리드차가 상승하는 시기였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전기차가 주도권을 쥐기 시작했지만, 아직 자동차를 구매하는 고객의 상당수는 여전히 보수적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당분간 내연기관 차 중에서도 하이브리드 차량이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