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아이폰 OLED 물량에서 반사이익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패널 경쟁사가 생산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 아이폰15 시리즈에서는 패널 외에 카메라 모듈 쪽에서도 생산 차질이 발생하고 있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수혜폭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경쟁사들의 생산 차질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도 아이폰 OLED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디스플레이업체 BOE는 아이폰15 OLED 초도물량을 모두 삼성디스플레이에 넘겨준 데 이어, 올해 말까지 나머지 물량도 놓칠 가능성이 크다
아이폰 15 프로 두 모델에 OLED 패널을 공급하는 LG디스플레이는 더 작은 아이폰 15 프로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받았으며, 아이폰 15 프로 맥스에 대한 정식 승인은 한두 달 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는 OLED에서 베젤과 홀 디스플레이 구현 등에서 차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준 아이폰 15 및 대형 아이폰 15 플러스에 OLED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는 BOE는 여전히 애플의 조건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아이폰 15 시리즈용 이미지 센서는 주로 소니에서 공급하고 있으며, 프로 맥스 모델의 페리스코프 렌즈용 접이식 줌 부품은 LG이노텍에서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두 부품의 생산 수율이 모두 기대 이하로 떨어졌다고 한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14 시리즈에서 프로 라인업에만 적용했던 ‘다이내믹 아일랜드’ 기능을 올해 아이폰15 시리즈에서는 하위 라인업에도 적용한다. BOE는 다이내믹 아일랜드 구현에 필요한 홀 디스플레이 가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 15 프로와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아이폰 14 프로 모델보다 베젤이 더 얇아질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으며, 베젤 크기가 줄어들어 제조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 특히 LG디스플레이는 더 작은 베젤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LG와 BOE 모두 다이내믹 아일랜드용 컷아웃을 추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애플 공급망의 여러 부품업체는 3분기 기대했던 실적 일부가 4분기로 연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2~3년간 아이폰 시리즈 출하량에서 프로 라인업 비중이 50~60%이기 때문에, 애플은 올해 아이폰15 시리즈도 프로 라인업 비중을 높게 유지하면서 현재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프로맥스 모델보다는 프로 모델을 우선 생산할 가능성이 크다.
애플의 연결 실적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애플 회계연도 2분기) 애플은 아이폰으로만 513억 달러(약 68조1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애플 전체 매출(948억 달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애플의 고가 프리미엄 제품 위주 판매구조 덕분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스마트폰 '톱10'중 1~3위가 아이폰13 시리즈였다. 중국에서 애플 점유율은 13%(지난해 3분기 기준)로 비보(20%), 오포(18%), 아너(17%)에 이은 4위다.
애플의 시가총액이 3조 달러(약 3872조원)에 육박한 가운데 향후 2년간 최대 30% 이상 더 성장할 것이라는 월가의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올레드 출하량이 2023년 1890만 대에서 2027년 5090만 대까지 증가하며 연평균 28.1%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2023년 플렉서블 올레드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은 84.8%에 이르며 2027년까지도 80%가 넘는 점유율로 사실상 독점체제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