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종합] LG디스플레이, 2분기 영업손실 전분기 대비 축소…하반기 회복 기대

매출 4조7386억원·영업손실 8815억원 기록·당기순손실 6988억원
출하 확대 및 비용 감축 활동으로 전분기 대비 손실 규모 축소
경기도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 입구 현판.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 입구 현판. 사진=뉴시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2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적자다. 하지만 전분기 대비 영업손실은 축소했다.
LG디스플레이는 26일 올해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4조738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49%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881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80.5% 증가했다.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작년 2분기부터 증가하던 적자폭이 올해 2분기엔 다소 축소됐다. ​당기순손실은 6988억원으로 EBITDA(상각전 영업이익)는 1297억원(이익률 3%)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출하 확대와 원가 혁신, 재고 관리 강화, 운영 효율화 등 비용 감축 활동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손실 규모가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2분기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패널 24% △IT용 패널 42%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3% △차량용 패널 11%등 이다.

LG디스플레이는 ‘수주형 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를 지속 추진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의 비중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물동과 가격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수주형 사업의 전사 매출 비중은 올해 40% 수준을 넘어서 내년에는 50%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향후 2~3년 이내 70%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형 및 중소형 전 제품군에서도 OLED 비중과 사업 경쟁력을 한층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 OLED의 전사 매출 비중은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형 OLED 부문에서는 증설된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모바일 제품 출하 확대를 위해 노력과 함께 IT OLED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 ’24년 양산ㆍ공급체제를 차질없이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사업은 텐덤(Tandem) OLED 및 하이엔드 LCD를 아우르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과 수주 확대에 집중해 세계 1등 업체로서의 위상을 한층 강화한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해부터 지속된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이 상반기를 기점으로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하반기에는 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고 건전성 회복에 따른 패널 구매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모바일 제품 출하 증가 등 수주형 사업 성과 확대에 힘입어 4분기 흑자 전환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거시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사업구조 고도화를 가속화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며 사업성과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