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삼성전자, 파운드리 생태계 직접 만든다

2·3나노 첨단 반도체 직접 설계할 수 있는 PDK 보급 예정
팹리스·협력사의 역량강화로 파운드리 점유율 확대 나설 듯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SAFE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SAFE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격변하는 반도체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반도체 생태계를 구성하겠다."
삼성전자가 고객사들에게 직접 2·3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제품을 설계할 수 있는 공정설계키트(PDK) '프라임'을 제공키로 결정했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들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직접 첨단 반도체 설계와 검사를 할 수 있도록 PDK를 제공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생태계를 더욱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삼성 파운드리·SAFE포럼 2023'을 열고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프라임 기술을 올 하반기부터 고객사들에 제공할 예정이다.

반도체업계는 삼성전자의 이 같은 행보에 깜짝 놀라는 모습이다. PDK기술을 고객사들이 보유하게 될 경우 첨단공정 제품을 직접 설계하고 검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서다. 사실상 삼성전자가 팹리스·소부장 업체들에 2·3nm 제품을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는 키트를 제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동시에 삼성전자는 다양한 종류의 시제품을 웨이퍼 한 장으로 생산하는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서비스도 더 확대키로 결정했다. MPW는 팹리스 업체들이 설계한 다양한 디자인의 반도체 시제품을 샘플로 제작해주는 서비스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이번 결정이 파운드리 생태계 확장을 위해서라고 보고 있다. 소부장→팹리스→파운드리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확장해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생태계 확장을 통해 새로운 고객사 확보 및 히트 제품 확보에 나설 것이란 해석도 있다.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을 놓고 대만 TSMC와의 경쟁으로 인해 신규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성전자가 팹리스·협력사들의 개발능력을 높여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란 설명이다.

신규 고객사 확보나 물량 확대 등을 통한 전통적인 방식의 주도권 경쟁에서 벗어나 직접 팹리스·협력사들을 성장시켜 파운드리 사업부문에서 글로벌 주도권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포럼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빅테크만 바라보던 모습에서 벗어나 이제는 반도체 생태계를 직접 구축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사업 규모를 키우려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국내 반도체산업 성장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