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층 예방적 돌봄 서비스 구축
'와플랫' AI생활지원사 노하우 활용
'와플랫' AI생활지원사 노하우 활용

엔에이치엔(NHN)이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 의료고등연구계획국)' 사업 참가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한국형 ARPA-H 사업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에서 주관하는 국민 체감형 연구 개발 프로젝트다. 사업의 5대 임무는 △보건 안보 확립 △미 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복지·돌봄 개선 △필수 의료 혁신 등으로 구성된다.
본 사업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주관하며 NHN 외에도 고려대의료원과 차의과대학교, 헬스케어 기업 뉴마핏과 론픽이 참여한다. 학계 혹은 헬스케어 기업 외에는 NHN이 유일하게 참가사로 선정됐다.
연구 기간은 오는 2029년 12월까지 약 4년이며 정부에서 최대 127억5000만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NHN은 5대 임무 중 복지·돌봄 개선 분야의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에 중점적으로 참여한다.
노령층의 대사 능력을 기반으로 노쇠 정도를 평가하고 문제를 예측하는 위상분석형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FZ(Frailty Zero, 취약성 제로) 케어'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연구 과정에서 NHN은 기존 운영 중인 돌봄 플랫폼 '와플랫'의 'AI생활지원사' 서비스를 접목할 계획이다. 병원과 체육시설, 웨어러블 기기 등 다방면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 분석해 개인의 건강 상태를 상시 점검하고 잠재적 위험을 예측해 노령층의 실질적 건강 증진을 이루도록 한다.
NHN 관계자는 "NHN이 와플랫 AI생활지원사를 전국 19개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며 쌓아온 AI 돌봄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뿌듯하다"라며 "본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수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의 돌봄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