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한국에서 잇따른 배터리 결함 논란으로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위기에 놓였다고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이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한국에서 운행되고 있는 테슬라 전기차 약 4350대에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른바 ‘BMS_a079’ 오류로 불리는 결함은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을 최대 50%로 제한하는 안전 모드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주행거리를 사실상 절반으로 줄이는 문제를 일으킨다.
문제는 주로 2021년형 모델3와 모델Y 차량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보고된 총 오류 건수는 4637건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차량에서는 배터리를 교체한 뒤에도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일렉트렉은 “테슬라가 교체용으로 신품이 아닌 재생(리퍼비시) 배터리 팩을 사용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전했다.
◇ 3000만원 넘는 수리비 부담…“결함 아닌 리콜 사안”
보증기간이 남은 차량은 테슬라가 무상 수리를 진행했지만 보증이 만료된 소비자들은 수리비로 3000만 원(약 2만2000달러)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급증했으며 2021년식 모델Y의 22%, 모델3의 12%가 같은 문제를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이와 관련해 “단순 노후화가 아닌 제조결함에 해당한다”며 국토교통부에 전면 리콜과 원인 조사를 촉구했다.
◇ 정부 “문제 해결 없으면 보조금 중단”…테슬라 입장 ‘침묵’
환경부도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환경부의 전기차 보조금 담당 관계자는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테슬라코리아에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지만 아직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응답이 계속 없으면 보조금 지급 중단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 정부가 테슬라 전기차 구매자에게 지급하는 최대 보조금은 580만 원 수준이다. 일렉트렉은 “이 보조금은 한국 내 전기차 시장을 견인한 핵심 요인으로 테슬라가 혜택을 잃을 경우 시장 점유율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2024년 한국에서 판매 기준으로 수입차 브랜드 3위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지만 이번 사태로 신뢰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일렉트렉은 전했다.
◇ 일렉트렉 “리퍼 배터리 논란, 한국 한정된 현상인 이유 불분명”
일렉트렉은 “테슬라가 과거에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제한한 사례가 있었지만 특정 연식 차량에서 이처럼 대규모로 문제가 발생한 것은 처음”이라며 “왜 한국 판매 차량에서만 이런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렉트렉은 “한국에 판매된 대부분의 테슬라 차량이 중국 상하이(기가팩토리 상하이)에서 생산된 만큼 이번 문제가 중국산 배터리나 조립 공정과 연관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