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미 오하이오주, 데이터센터 전기요금 85% 선불제 도입

“AI·클라우드 확산에 전력 수요 급증…송전망 투자비용 데이터센터가 부담, 12년간 적용”
아마존·구글 등 빅테크에 전력비 부담 강화
미국의 주요 주 정부들이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전기 요금 인상에 대해 빅테크에 선불요금을 징수하려고 한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주요 주 정부들이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전기 요금 인상에 대해 빅테크에 선불요금을 징수하려고 한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최근 보도에 따르면 오하이오주 공공유틸리티위원회(PUCO)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운영하는 데이터센터에 예상 전력 사용량의 85%를 실제 사용량과 상관없이 매달 선불로 내도록 하는 요금제를 승인했다.
이번 조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라, 송전망(그리드) 확충에 드는 비용을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업체가 아닌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이 부담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지난 10(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가 전했다.

◇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폭증…그리드 투자비용 논란


오하이오에서는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신설이 늘면서, 전력회사인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AEP)가 지난해 데이터센터 전용 요금제 도입을 제안했다. AEP는 기존에 데이터센터 고객에게 예상 전력 사용량의 60%만 선불로 받던 관행을 90%까지 올리자는 방안을 내놨다. 이는 실제 사용량이 적더라도 송전망 확충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AEP대기 중인 데이터센터 고객 수요가 이전 최대 부하의 3배를 웃돈다고 밝혔다.

데이터센터 업계는 차별적이고 징벌적인 접근이라며 반발했다. 데이터센터 연합(Data Center Coalition)에서 에너지정책을 맡고 있는 루카스 파이크스(Lucas Fykes)특정 고객이나 산업이 이질적인 요금 취급을 받아서는 안 된다. 업계는 서비스 비용을 전액 부담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아마존도 지난 4월 위원회에 제출한 서류에서 차별적이고 징벌적인 접근이라고 비판했다.

◇ 소비자 보호 내세워…가정용 전기요금 인상 억제


소비자 보호 단체와 오하이오주 공공유틸리티위원회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크게 늘면서 일반 가정과 소규모 사업체의 전기요금 인상 우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PUCOAEP와 소비자 단체가 제안한 예상 사용량의 85%’ 선불 요금제를 채택했다. 오하이오 소비자상담실의 모린 윌리스(Maureen Willis) 국장은 데이터센터로 인한 과도한 비용을 주거용 소비자가 부담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위원회는 공식 결정문에서 앞으로 몇 해 동안 오하이오 그리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장려하는 것과, 데이터센터가 아닌 고객을 서비스 중단에서 보호하는 것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요금제는 12년 동안 적용되며, 데이터센터는 계약 전력량의 85%를 매달 선불로 내야 한다. 실제 사용량이 85%에 미치지 못해도 환불은 없다.

◇ 업계 반발과 향후 흐름


데이터센터 연합은 이번 결정은 오랫동안 확립된 건전한 요금 결정 원칙에서 벗어난 것이라며, 오하이오 내 데이터센터 개발이 위축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내 주요 데이터센터 시장과는 다른 차별적 요금제라고 평가했다. 오하이오주 힐리어드에 사는 캐리 킬링스워스(Carrie Killingsworth)시민들이 세계 최대 기업에 재정적으로 보조금을 줘서는 안 된다며 규제당국 결정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한편, 오하이오주는 85% 선불 요금제를 도입해 12년간 적용하고, 계약 이행 보증 등 추가 조치도 마련했다.

오하이오주의 데이터센터 전용 요금제 도입은 전력 수요 급증과 송전망 투자비 논란, 소비자 보호 논리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업계와 소비자, 규제당국의 생각 차이가 뚜렷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번 오하이오주의 결정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에 직면한 다른 주에도 선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기존 발전설비 용량을 빠르게 뛰어넘고 있어, 각 주마다 그리드 투자비용 분담 논란이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앞으로 미국 내 다른 주로 논의가 확산될지 관심이 쏠린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