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데일리메일 "수용소서 독극물 양배추 투여, 가스실 가족 질식 등 생체 실험"... 전직 수용소 관리자·탈북자 증언 잇따라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생체 실험이 집단적으로 진행됐다는 탈북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상세히 보도했다.
북함경도 산간지대의 22호 수용소 관리소장이었던 권혁(Kwon Hyuk)은 "당시 사회와 체제 속에서 그들(실험 대상자들)은 적이었기 때문에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아이들에게 동정심을 느꼈다고 말하는 것은 완전한 거짓말일 것"이라고 2004년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권 전 소장은 "가스실에서 한 가족 전체가 질식 가스로 실험당해 죽어가는 것을 목격했다"며 "부모와 아들, 딸이 모두 있었는데 부모는 구토를 하며 죽어가면서도 마지막 숨이 끊어질 때까지 필사적으로 자녀들을 소생시키려 했다"고 증언했다.
북한 측은 22호 수용소가 2012년에 폐쇄됐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증언들을 "미국이 주도하는 비방 캠페인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수감자로 7년간 북한 수용소 생활을 경험한 순옥이(Soon Ok-lee)는 1999년 출간한 저서 '꼬리 없는 동물의 눈(Eyes of the Tailless Animals)'에서 평북 개천 수용소에서의 끔찍한 경험을 상세히 기록했다. 그녀는 50명의 건강한 여성 수감자들에게 독이 묻은 양배추를 제공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양배추를 먹은 여성들은 모두 비명을 지르며 피를 토했다. 입과 항문에서 피가 나오더니 20~30분 안에 그렇게 모두 죽었다"라고 그녀는 이후 미국 N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녀는 이것이 김정일의 지시로 진행된 '생화학 실험'이었다고 주장했다.
순옥은 1987년 물자공급소 관리자로 일하던 중 경기 침체로 자재 공급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수감됐다고 말했다. 7년의 수감 생활 동안 그녀는 벨트로 구타당하고, 물을 강제로 마시게 한 후 밟히는 등의 고문을 당했으며, 한 끼에 옥수수 100g만 제공받는 극도의 영양실조 상태였다고 증언했다.
또한, 순옥은 정치범들은 자녀를 가질 수 없도록 금지되어 있어, 임신 8~9개월의 여성들에게 소금물을 주입해 태아를 살해하려 했다고 말했다. "때로는 살아있는 영아가 태어나면, 경비원들이 피 묻은 아기를 발로 차서 죽였다"라고 그녀는 증언했다.
북한 특수부대 출신 임천용은 2014년 독일 매체 DW와의 인터뷰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전쟁 실험을 위해 '대상물'이 필요했다"며 "처음에는 쥐에게 화학 물질을 투여해 죽는 과정을 보여준 뒤, 인간에게 실험하는 것을 내 눈으로 직접 봤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정권은 장애가 있는 아이들의 부모에게 돈을 주고 아이를 사려고 하며, 이것이 통하지 않으면 협박한다"고 영국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한 "북한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군사용 화학·생물학 무기를 시민들에게 실험해왔다"며 "탄저균과 북한이 자체 개발한 40여 종의 화학무기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한국 통일부는 500명 이상의 북한 탈북자 증언을 바탕으로 450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사회안전성 관계자들이 가족들을 수용소로 보내겠다고 협박하며 인체 실험 대상자로 삼도록 강요했으며, 피실험자들은 수면제를 몰래 투여받은 후 '83병원'이라는 시설로 강제 이송되어 다양한 실험을 당했다고 한다.
또한, 장애인, 특히 왜소증이 있는 사람들의 인권이 박탈되고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의료 시술이 시행됐다. 2015년에는 한 병원의 간호사들이 '왜소증 환자 명단'을 작성하도록 지시받았으며, 이 명단은 왜소증이 있는 사람들이 출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사용됐다고 한다. 2017년에는 왜소증이 있는 한 여성이 강제로 자궁 적출 수술을 받았다는 증언도 있었다.
일본 학자 시게무라 도시미쓰(Toshimitsu Shigemura) 교수는 "이런 이야기들이 너무 많아 사실이 아닐 수 없다"고 DW에 말했다. 반면 북한-미국 평화센터의 김명철 사무국장은 이러한 주장들을 "남한과 미국의 관심을 끌어 돈을 벌기 위한 넌센스"라고 일축했다.
한편,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베일에 싸인 국가 중 하나로, 엄격한 통제와 반체제 인사에 대한 무관용 정책을 통해 소위 '자유'를 유지하고 있다.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러한 베일 뒤에는 과학적 탐구라는 명목으로 더욱 끔찍한 인권 유린이 자행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