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하이난, 트럼프 관세 시대에 자유무역항의 최전선으로 부상

10만 위안 비과세 쇼핑 한도·무관세 의료 특구 등 혜택으로 외국인 자본 유치
면세점·의료관광 중심지로 개발...작년 무역량 20% 증가, ASEAN과 교역 60% 급증
중국은 하이난이 남중국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대외 무역의 관문으로 꼽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은 하이난이 남중국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대외 무역의 관문으로 꼽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하이난성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자유무역항 정책의 최전선으로 부상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응하는 개방 경제의 상징이 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열대 기후와 해변 휴양지로 인해 '중국의 하와이'로 불리는 하이난은 관광객과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이난의 1인당 연간 비과세 지출 한도는 10만 위안(약 1만3800달러)으로, 홍콩의 1만2000위안을 훨씬 웃돌고 있다.

최근 평일 오후임에도, 싼야시의 대형 면세점은 쇼핑객들로 붐볐다. 한 화장품 매장 판매원은 음력 설 연휴 기간 많은 외국인들이 번역 앱을 사용하거나 투어 가이드의 통역 도움을 받아 쇼핑을 즐겼다고 전했다.

하이난 주정부는 의료 관광에도 주력하고 있다. 충하이시의 보아오 지구에는 해외의 첨단 의약품과 의료 장비를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는 특별 구역이 조성되어 있다. 약 20제곱킬로미터 면적에 국내외 36개 의료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보아오이링 라이프 케어 센터도 그중 하나다.
이 의료 센터는 서양 의학과 중국 전통 의학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국 부유층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등에서 온 단체 방문객들도 검진을 위해 찾고 있다.

중국은 1988년 하이난섬을 5번째 경제특별구역으로 지정했으며, 남중국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 관문으로 개발했다.

2018년 하이난성 설립 30주년 기념식에서 시진핑 주석은 하이난이 홍콩에 이어 중국 최대의 자유무역항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에는 2025년 말까지 수입 관세를 원칙적으로 폐지하고 기업과 개인에 대한 세제 혜택을 도입했다.

이러한 정책의 혜택을 받는 기업 중 하나인 하이난 오스카 인터내셔널 오일 앤 그레인스는 호주와 캐나다에서 대두와 유채씨를 무관세로 수입해 식용유로 가공한 후 중국 내수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하이난성 양푸 경제개발구에서 육포와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하이난 홍양 식품도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다. 이 회사는 주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 원재료를 수입하며, 중국 타 지역에 비해 생산 비용이 6% 절감되는 효과를 보고 있다.

야오 다페이 총괄 매니저는 "트럼프의 관세가 중국과 남미 간 무역으로 확산되면 우리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서도 수입할 수 있다"며 향후 인도네시아와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이난성의 총무역량은 2024년 20% 증가한 2776억 위안에 달했다. 가장 큰 교역 상대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으로, 지난해 ASEAN과의 무역액은 60% 증가한 579억 위안을 기록했다.

지난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채택된 정부 업무 보고서는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핵심 정책 가속화를 2025년의 중요한 목표로 선정했다.
그러나 하이난성은 관광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강력한 산업 기반이 부족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2023년 관광 및 기타 서비스업이 지역 총생산의 약 25%를 차지한 반면, 수출 지향 산업은 17%에 불과했다. 자유무역항 사업의 주요 부문인 금융업 비중도 약 7%에 그쳤다.

시진핑 주석이 개방 경제 정책의 일환으로 강조하는 외국 기업 투자 유치도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2024년 하이난성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40억 달러였다. 이는 중국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가 2021년 대비 95% 감소한 상황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지만, 하이난에 대한 투자는 최근 몇 년간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이난의 자유무역항 전략은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와 대조되는 중국의 개방 정책을 상징하지만, 아직 확고한 산업 기반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어 향후 발전 방향이 주목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