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일본 기업, 미국 투자 '러시' 본격화…1조 달러 시대 열리나?

자동차·식품 넘어 AI·반도체까지…일본 기업의 '통 큰' 투자 행진
엔저·인력 부족에도 미·일 정상회담 계기 대미 투자 확대…일본 기업의 노림수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일본의 대미 투자를 1조 달러(약 1453조 원)까지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일본 기업들의 미국 투자 '러시'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닛케이가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일본 기업들은 자동차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성장 분야에서도 투자계획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일본의 대미 직접 투자 잔액은 7833억 달러(약 1138조6832억 원)로 캐나다, 독일, 영국 등을 제치고 5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7일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일본은 경제 면에서도 미국에 가장 긴밀한 파트너"라고 강조하며 미국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해외 현지법인 분기별 조사'에 따르면 2024년 3분기(7~9월) 일본 기업의 미국 현지법인이 취득한 유형 고정 자산은 26억 달러(약 3조7817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7억 달러(약 1조180억 원)에 그친 중국(홍콩 포함)을 비롯한 다른 국가·지역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를 주도하는 것은 자동차 산업이다. 토요타 자동차와 토요타 통상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총 140억 달러(약 20조3518억 원)를 투자해 차량용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2025년 4월부터 출하를 시작할 예정이다. 혼다 역시 2025년 하반기 미국 내 전기 자동차(EV)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오하이오주 공장에 10억 달러(약 1조4541억 원)를 추가 투자하여 생산 라인을 증설한다.

일본 음식 붐을 타고 식품 업계의 미국 투자도 활발하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닛신 식품 홀딩스는 오는 8월 미국에서 47년 만에 즉석면 신공장을 가동하며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깃코만 역시 위스콘신주에 새로운 간장 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6년 가을부터 제품을 출하할 계획이다.
AI와 반도체 등 성장 분야에 대한 투자도 눈에 띈다. 소프트뱅크 그룹(SBG)은 AI 인프라 정비 사업인 '스타게이트 계획'에 3조 엔(약 28조6947억 원)을 투자할 방침이며, 손정희 회장은 총 투자액이 5000억 달러(약 727조500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미토모 화학은 텍사스주에 반도체 제조 공정용 세정액 생산 공장을 신설하고 2025년도 중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레조낙 홀딩스는 실리콘 밸리에 최신 조립 공정 개발·평가 거점을 마련한다.

하지만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에는 엔저와 인력 부족이라는 과제도 남아 있다. 엔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일본에서 벌어들인 자금을 미국에 투자할 때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미국 내 인력 부족 현상으로 인해 생산 확대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다이와 총연의 기시카와 가즈마 씨는 "미국에서는 실업률이 역사적인 저수준에 있다. 인력을 확보하고 증산을 실현할 수 있을지가 과제"라고 지적한다.

미·중 갈등 심화는 일본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면서 일본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아울즈 컨설팅 그룹의 하뉴다 케이스케 대표는 "섣부른 투자 판단은 대체로 리스크"라고 지적하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미국 시장이 일본 기업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이며, 높은 기술력과 숙련된 노동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미·일 동맹 관계는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를 뒷받침하는 든든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