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 증편, 택시 집중 운행…시민 불편 최소화
기간 내 승용차요일제, 가로변버스전용차로 해제
기간 내 승용차요일제, 가로변버스전용차로 해제

만일 파업에 이르게 되면 비상수송대책본부(본부장: 시 미래혁신부시장)를 가동해서 비상수송대책을 즉시 시행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26일 오후 4시 시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구·군, 시교육청, 부산경찰청, 부산교통공사 등 관계기관이 모여 비상수송대책을 점검했다.
비상수송 대책은 △전세버스 투입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증편 △택시 집중 운행 △승용차요일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일시 해제 등을 추진한다.
전세버스는 임시정류소에서 인근 도시철도역까지 승객을 수송한다. 46개 임시노선에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해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한다.
도시철도와 경전철은 출퇴근 시간을 1시간 연장(오전 7~9시 → 오전 7~10시, 오후 6~8시 → 오후 6~9시)하고, 평일 기준 도시철도는 50회, 부산․김해경전철은 10회를 증편 운행한다.
택시는 파업 기간 운휴 차량을 최대한 줄여 승객 운송을 늘리고, 버스정류소를 택시승강장으로 개방한다.
아울러 파업 기간동안 승용차요일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를 해제해 승용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김광회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가능한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금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우리시는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다”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으로, 시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