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ReStart K경제 리더십] 재계·정부 힘 합쳐 위기극복 총력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경제살리기 매진 절실
협력 절실한 통상문제, 민관 공동 협력 통해 돌파구 마련
지난 25일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5일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
외교 문제를 해결할 최고 책임자 대통령의 부재 상황이 다음 주로 끝이 난다. 외교 수장의 부재로 울상을 짓던 우리 기업들에도 숨통이 트이게 됐다. 우리 기업들이 민간사절단으로 적극적인 외교 소통을 이어온 만큼 새로운 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전망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29일과 30일 이틀간 사전투표를 시작으로 다음 달 6일 '21대 대통령 선거'가 마무리되면 부재했던 대통령이 선출되고 침체된 우리나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발표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현재 진행 중인 대미 통상 압박과 관련된 내용을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국내 기업들이 대규모 미국 투자를 약속했고, 현지 정책 변화에 맞춰 기민하게 대처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약 30조원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투자를 늘릴지 고민하고 있다. 항공업계의 경우 대한항공이 신규 기재 도입과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미국 현지 업체와 협력해 34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다양한 우리 기업들이 미국을 비롯한 해외 투자에 힘을 쏟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정책적인 지원 없이 진행한 기업 투자인 만큼 이를 활용해 정책적으로 유리한 입장을 도출하는 것이 차기 정부의 역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통령의 부재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 이후 이렇다 할 협상을 하지 못했다.

가까운 일본은 파격적인 정책 지원을 받았고, 트럼프와 일본 총리가 직접 만나 협상하는 모습도 연출됐다. 이에 우리나라도 늦었지만, 재계가 풀어둔 선물 보따리를 활용해 좀 더 이득이 되는 협상을 진행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위기는 결코 정부나 개별 기업 혼자만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만큼 우리 기업들과 새로이 출범할 정부가 힘을 모아 우리 산업을 보호하고, 영토를 확장할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재계 한 관계자는 “국가 경제,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쳐온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이젠 모두가 힘을 합쳐 경제 살리기에 매진해야 할 때”라면서 "오랜 기간 경제를 괴롭혀온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분열이 아닌 통합으로 경제 활력 제고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