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대선 지지 이재명 46.6%·김문수 37.6%…직전보다 소폭 하락

이준석 지지 응답 10.4%로 소폭 상승
이재명-김문수 양자대결서 李 51.1% 金 43.9%
22일 강원 강릉시 옥천동 길거리에서 대선 후보 벽보 교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2일 강원 강릉시 옥천동 길거리에서 대선 후보 벽보 교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다음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각각 46.6%와 37.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10.4%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22~23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9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를 조사(통계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직전인 20~21일 조사와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1.5%포인트(P), 1.0%P 하락했다. 이준석 후보는 1.0%P 상승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1.0%P 상승한 1.6%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황교안 무소속 후보와 송진호 무소속 후보가 각각 0.9%, 0.3%로 뒤를 이었다.
리얼미터는 "대선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이재명 후보는 여전히 선두를 지키고 있지만, 지지율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를 한 자릿수로 유지 중"이라며 "이준석 후보는 단일화 거부와 완주 선언 전략, TV 토론 효과로 두 자릿수 지지율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응답자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 48.4% △김문수 후보 32.4% △이준석 후보 14.6% 순으로 집계됐다. 지지 정당별로는 무당층에서 △김문수 후보 35.8% △이재명 후보 27.4% △이준석 후보 14.8%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 김문수 후보가 47.2%로 이재명 후보(33.4%)를 앞섰고, 인천·경기 지역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6.6%로 김문수 후보(36.0%)를 앞섰다. 이준석 후보는 서울과 인천·경기에서 각각 13.6%, 11.4%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대구·경북(TK) 지역에서는 △김문수 후보 49.1% △이재명 후보 31.6% △이준석 후보 12.3% 순으로 조사됐다. 부산·울산·경남(PK) 지역의 후보별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50.2% △김문수 후보 37.0% △이준석 후보 7.1%다.
연령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30대(46.1%), 40대(62.2%), 50대(61.2%)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문수 후보는 18~29세(36.1%)와 60대(47.7%), 70대 이상(54.2%)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이준석 후보는 18~29세(31.9%)에서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각각 51.1%와 43.9%의 지지율로 조사돼 7.2%P의 격차를 나타냈다. 이재명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맞붙을 경우에는 각각 48.9%와 37.0%로 지지율 차이가 11.9%P였다.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 조사에서는 '민주당 등 야권의 정권 교체'를 지지한 비율이 52.9%, '국민의힘 등 범여권의 정권 연장'을 원하는 비율이 40.8%로 조사됐다.

'후보 지지 여부와 관계 없이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5.4%가 이재명 후보를 꼽았다. 김문수 후보는 34.6%, 이준석 후보는 5.9%로 조사됐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선거 때까지 계속 지지할 의향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88.7%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이 전주 대비 2.4%P 내린 43.5%, 국민의힘은 0.4%P 오른 37.8%, 개혁신당은 0.2%P 내린 7.7%를 각각 기록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격차는 5.7%P로 오차범위 안으로 좁혀졌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8.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