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의원·약국 9만6000곳 10월부터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확대 적용… 의원급 의료기관·약국까지 참여
오는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 등에서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가 시행된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오는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 등에서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가 시행된다. 사진=연합뉴스
오는 10월 25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을 포함한 약 9만6000곳에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본격 시행된다.
금융위원회는 7일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명·손해보험협회 등과 함께 실손보험 전산청구 시스템 ‘실손24’의 확대 적용을 위한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준비 현황을 공유했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지난해 10월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1단계 도입이 시작된 바 있다. 이번 2단계 확대 적용으로 의원급 의료기관과 약국까지 참여 대상이 넓어진다.

5일 기준, 전산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는 요양기관은 총 6757곳이다. 이 중 병원은 1045개, 보건소는 3564개, 의원 861개, 약국 1287개다. 병원급 이상 기관을 중심으로 한 1단계의 참여율은 약 59.1%에 이르지만, 의원과 약국이 포함된 2단계 참여율은 아직 2.2% 수준에 그치고 있다.
금융당국과 유관기관은 참여 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 실손24 참여 병원을 지도 플랫폼과 연동해 소비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참여하지 않은 기관에 대해 소비자가 직접 참여 요청을 할 수 있는 기능도 신설했다.

보험업계는 참여 의료기관과 EMR(전자의무기록) 소프트웨어 개발사에 대해 서버 비용, 시스템 구축비, 유지보수비, 확산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고 있다.

금융위는 오는 11일부터 ‘실손24’ 홍보 캠페인을 전개해 국민과 의료기관의 인식 제고에도 나설 계획이다. 네이버페이 포인트 지급 이벤트, 참여 기관 대상 보험료 감면, 정책금융기관 보증료 지원, 의료행정 연계 방안 등 다양한 활성화 정책도 병행 검토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법정 회의체인 ‘실손전산운영위원회’를 통해 의료계와 협력하며 전산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논의·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