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상반기 부실PF 12조6000억 정리 '절반 이상'…정상화 본격화

당초 목표치인 16조2000억 원에는 ‘미달’
하반기 상호금융外 잔여부실 1조 원대 축소
부실 PF 중 상당수가 올해 상반기 중 정리될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부실 PF 중 상당수가 올해 상반기 중 정리될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중 전체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 52.7%에 해당하는 12조6000억 원 규모에 대한 정리가 완료된다. 금융감독원은 22일 ‘전 금융권 부동산 PF 정리·재구조화 경과 및 그간의 실적’을 발표하고, 올해 3월 말까지 9조1000억 원이 정리·재구조화됐으며 4∼6월 중 3조5000억 원이 추가로 정리·재구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금융당국이 작년 6월부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PF 사업성 평가를 한 결과 경·공매 등 정리 및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한 재구조화가 필요한 ‘유의’(C)·‘부실우려’(D) 등급 여신은 총 23조9000억 원으로 집계했다.

다만 이날 제시한 상반기 예상 정리·재구조화 물량 총 12조6000억 원은 당국이 작년 말 발표했던 올해 상반기 목표치(16조2000억 원)보다는 3조6000억 원가량 적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16조2000억 원 중 9조 원가량이 정리 계획이었고, 나머지가 재구조화 물량이었는데 대주단 교체나 사업 용도 변경, 인허가 등 법적 절차에 시간이 좀 더 소요됐다”며 “목표 대비 3조 원정도 재구조화가 지연돼 아직 진행 중”이라고 했다.
금감원은 2분기 중 남은 목표 물량인 3조5000억 원도 무리 없이 대부분이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금감원은 양해각서(MOU)를 제출했거나, 추가 자금조달 계약 체결이 임박한 사업장 수를 고려했을 때 2분기 중 중대형 사업장(500억 원 이상)에서 1조6000억 원 규모의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저축은행의 4차 PF 정상화 펀드에 1조5000억 원 규모의 PF 여신 매각이 진행 중이어서 실사와 가격 협의를 거치면 6월 중 매각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금감원이 올해 1월부터 운영 중인 PF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 사업장 중 4000억 원 규모도 다수의 매수 의향자가 적극적인 매수 의사를 보이거나 수의계약 체결을 위해 가격협상을 앞두고 있다.
4월말 기준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사업장은 395개(익스포저 기준 6조5000억 원)로 소송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공개대상 사업장 중 95%가 공개됐다.

정리·재구조화 결과 6월말 잔여 부실은 전체 11조3000억 원 수준이다. 업권별로 보면 증권(1조9000억 원), 저축은행(9000억 원), 은행(1000억 원), 여전(1조3000억 원), 보험(5000억 원), 상호금융 등(6조7000억 원) 등으로 상호금융을 제외한 대부분 업권에서 잔여 부실이 1조 원 내외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