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인도 물류, 기술 혁신으로 재편... 애플 등 글로벌 기업 공급망 이전 가속

2021년 2,150억 달러서 연 10.7% 성장 전망... AI·자동화로 비용 절감
세계은행 물류성과지수 38위... 2030년까지 25위권 목표
수십 년 동안 인도 물류 부문은 파편화된 트럭 운송, 수동 서류 작업, 비용을 부풀려뜨리는 비효율성의 대명사였다.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수십 년 동안 인도 물류 부문은 파편화된 트럭 운송, 수동 서류 작업, 비용을 부풀려뜨리는 비효율성의 대명사였다. 사진=AP/뉴시스
인도의 물류 부문이 애플 등 주요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 이전과 정부 이니셔티브에 힘입어 기술 중심의 대변혁을 겪고 있다. 수십 년간 경쟁력을 저해했던 비효율성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8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2021년 2,150억 달러 규모로 2026년까지 연평균 10.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 물류 부문은 오랫동안 파편화된 트럭 운송, 수동 서류 작업, 비용을 부풀리는 비효율성의 대명사였다.

그러나 최근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물류 비용이 이전에 생각했던 국내총생산(GDP)의 13~14%만큼 높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 테슬라, 폭스콘이 인도에 공급망을 구축하면서 현대화 압력은 여전히 높다.

변화의 핵심에는 자산 경량화와 기술 우선의 새로운 모델이 있다. 기업들은 방대한 차량과 창고를 건설하는 대신 차량을 임대하고, 긱 워커를 배송 파트너로 고용하며, 타사 플랫폼에 연결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은 경로 최적화에서 콜드체인 규정 준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감독하는 알고리즘, 인공지능(AI), 스마트 시스템에 의해 뒷받침된다.
인도 최대 완전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업체 델리버리의 CEO 사힐 바루아는 "자산 경량화는 확장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을 통해 정밀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며 "우리의 자동화된 허브는 매일 수백만 건의 배송을 처리하며 AI는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 순전히 차량 중심 모델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이퍼로컬 물류 업체 섀도팍스도 동일한 원칙을 바탕으로 구축됐다. 회사의 공동 창립자 아비섹 반살은 "크라우드소싱 배송과 AI 기반 할당을 통해 패키지당 비용을 절감하면서 높은 신뢰성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AI는 수요 예측, 예측 유지보수, 실시간 경로 최적화를 지원하고 있다. 인터넷 연결 센서는 콜드체인의 위치, 운전자 행동, 연료 사용, 온도 제어를 위해 트럭을 추적한다. 로봇 공학과 자동화는 재고 확인을 수행하는 분류 시스템, 로봇 팔, 드론으로 창고를 변화시키고 있다.

인도 대외무역연구소의 공급망 전문가 데바시스 차크라보르티는 "인도의 물류는 가시성과 예측 가능성을 중심으로 재건되고 있다"며 "이것은 단순한 디지털화가 아니라 상품이 경제를 통해 이동하는 방식의 재구조"라고 말했다.
지난 9월 17일 출범 3주년을 맞이한 정부의 국가물류정책(NLP)과 4년 된 가티 샤크티 총리 인프라 마스터 플랜은 이러한 변화를 확장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NLP의 핵심 부분은 업계 관계자가 다양한 정부 시스템의 물류 관련 데이터 세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게이트웨이인 통합물류인터페이스플랫폼(ULIP)이었다.

산업내무역진흥부는 "비서비스 생산량 대비 총 물류 비용(TLC) 감소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는 이미 물류 비용의 최적화를 목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총 물류 비용은 2023 회계연도 인도 GDP의 7.97%, 비서비스 생산량의 9.09%를 차지했다.

긴급성은 세 가지 수렴하는 힘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배송 기대치를 재정의해 인도 도시에서 당일 또는 익일 배송이 표준이 됐다. 글로벌 제조업체는 종이 기반 프로세스가 아닌 적시 물류를 요구하고 있다. 비용 압박은 가차없이 이어지며, 비효율성은 인도의 제조 경쟁력에 직접적인 장벽이 된다.
인도는 세계은행의 2023년 물류성과지수에서 3.4점으로 38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19위인 중국(3.7점), 말레이시아(26위), 태국(34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뒤진다. 인도는 2030년까지 상위 25위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다른 요인은 지정학이다. 미·중 무역 전쟁의 여파로 다국적 기업들은 인도로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다만 현재 미국이 인도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해 이러한 전략은 큰 도전에 직면했다. 전문가들은 설령 협상이 성공하더라도 관세 우위만으로는 인도의 경쟁력을 갖추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

토지 취득 지연부터 고급 자동화 운영 기술 부족에 이르기까지 과제가 남아 있다. 차크라보르티는 "현재 물류 운영자의 대부분은 여전히 작고 파편화되어 있으며 디지털화를 위한 자본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인도와 글로벌 공급망의 통합 증가로 물류가 전략적 우위로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