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지원 힘입어 ‘지능사회’ 실현 속도 높인다

정부가 주도하는 지능사회 구축 추진
에디 우 알리바바 최고경영자는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예상보다 크게 늘어 추가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국무원은 2035년까지 경제 전 분야에 AI를 도입해 ‘지능경제·지능사회’를 구축하겠다고 지난해 발표했다. 가빗칼(Gavekal) 기술리서치의 라일라 카와자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AI를 미래 산업 혁명의 동력으로 본다”며 “풍부한 재정 지원과 사회 전반의 추론 수요 덕분에 미국보다 더 긴 호흡의 AI 붐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재생에너지 확충으로 ‘에너지 병목’ 해소
반면 미국은 전력 수급 제약이 AI 개발 속도를 늦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도체 의존 탈피 과제
린 매니저는 “AI 연산에 필요한 고성능 GPU는 여전히 미국 제품이 대세”라며 “중국 정부가 국산 칩 채택을 권장해 기술 자립을 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중국의 AI 투자는 애플리케이션보다 인프라에 집중되며, 성장 속도는 느려도 장기적으로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알리바바 주가 추가 상승 여력” 전망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중국 빅테크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가운데 AI 투자 확대가 전 산업에 파급 효과를 줄 것”이라며 “메모리·네트워크 장비·액체 냉각 시스템 업체가 수혜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