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연준에 ‘MAGA 색채’ 전면 주입…스티븐 미란 임시 이사 지명

관세 정책 설계자이자 연준 비판론자, 2026년 1월까지 단기 임기 예상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에 핵심 참모인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임시 이사로 지명하며 금융 정책에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의 목소리를 본격적으로 심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7(현지시각)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미란 임기는 2026131일까지이며, 상원 인준을 거쳐야 확정된다. 비록 임기가 짧지만, 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는 그의 등장은 연준 내 정치적 분열과 정책 변화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 연준 이사 공석에 측면 돌파로 임명된 미란


미란의 지명은 지난 81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가 예정보다 일찍 사퇴하면서 생긴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조치다. 쿠글러는 20239월부터 활동해왔으며 당초 임기는 내년 1월까지였다. 미란은 쿠글러의 잔여 임기만 채우게 된다.

1969년생 미란은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트럼프 1기 정부에서 재무부 경제정책 고문을 지냈다. 이후 투자회사 허드슨베이캐피털 수석 전략가, 보수 성향 싱크탱크 맨해튼연구소 연구원 역임 후 2기 정부에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으로 임명돼 트럼프 경제정책을 뒷받침해 왔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의 핵심 설계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202211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광범위한 관세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달러 가치 조정을 통한 약달러 정책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경제정책을 강력히 옹호하며 연준의 정책 기조에 비판적 입장을 유지해왔다.

◇ 연준 비판과 독립성 논란…정책 변화 촉발 가능성


미란은 2022년 당시 연준의 물가 목표 완화와 금리 대응 지연이 신뢰 하락을 초래했다고 비판했고,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와 관련해 연준이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경기 둔화 시 완화를 기정사실화했다며 강하게 지적했다. 연준 독립성에 대해서도 정치와 인사의 벽이 무너졌다고 진단하며 기존의 독립적 중앙은행 관행이 흔들렸음을 강조했다.

트럼프가 지명한 미셸 보우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와 더불어 미란도 금리 인하를 압박하면서 연준 내 공개적인 의견 차이가 커지고 있다. 특히 미란 임기가 제한적이지만 정치적 상징과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미란 임명과 맞물려 내년 5월 파월 연준 의장 임기 종료 후 차기 의장 인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 상원 인준 전망과 정치권 반응


상원 은행위원회 공화당 간사 팀 스콧 의원은 미란 지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신속한 인준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간사 엘리자베스 워런 의원은 미란을 트럼프 충성파이자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 설계자로 규정하며 비판을 이어갔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란이 승인되더라도 9월 예정된 연준 회의 전까지 인준 절차가 완료되기 어려워 당장 9FOMC 참석(916~17) 등 실질적인 회의 출석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미란은 금리 인하 정책 지지 입장을 분명히 하며, 트럼프의 금리 정책 노선을 연준 내에서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치적 ‘MAGA 색채연준 내부 진입, 금융시장 파장 예고


트럼프 진영의 핵심 경제 인사를 연준에 투입한 이번 조치는 연준 독립성의 한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내 이견 공개와 정책 방향 변화의 전환점으로 꼽힌다.
연준은 그간 정책 의사결정의 일관된 목소리를 표방했지만, 미란 지명 이후 트럼프계 이사들의 금리 인하 요구가 더 분명해지며 의사소통 방식과 정책 기조에 변화가 실질화될 전망이다. 내년 차기 연준 의장 선출과 맞물려 미국 금융 및 경제정책의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배런스는 이번 임명은 단기 임기임에도 불구하고 ‘MAGA’ 진영의 연준 내 공식 진입이 현실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자, 미국 금융 정책의 향배를 좌우할 중대한 정치적 변곡점임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