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파월 "금리 조정 서두르지 않아...관세로 인플레·실업률 상승 위험 커져"

연준, 3회 연속 기준금리 4.25~4.50% 범위로 동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7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7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현지시각)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현행 4.25%~4.5% 범위로 3회 연속 동결했다.
FOMC는 성명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면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상승할 위험이 커졌다"고 평가하며 경기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했다.

이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조정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면서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선제적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으면서 "아직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를 웃돌고 있다"면서 "우리가 사전에 조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더 많은 데이터를 봐야 어떤 대응이 적절한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금리 인하 이후 추가 금리 인하를 보류한 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9월 ‘빅 컷’(0.50%포인트 금리 인하) 이후 11월과 12월에 각각 0.25%포인트(25bp) 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올해 1월부터 금리 동결에 나섰다.

파월 의장은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인 물가 상승에 그칠 수도 있지만, 더 지속적인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미국이 주요 교역국들과 진행 중인 협상이 경제 전망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고율 관세를 전격 부과한 이후 나온 발언이다.
파월 의장은 "지금은 행정부가 여러 주요 교역 파트너들과 협상을 시작하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 결과에 따라 경제 전망이 크게 달라질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향후 전개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한 관세 조치에 대해 "내가 본 예측이나 우리 내부 전망보다 훨씬 큰 규모였다"고 평가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 실업률이 여전히 낮고 수요도 견고한 가운데 연준이 당분간 금리 조정을 기다리는 데 따른 비용이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상황에서 기다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인내심을 갖는 것이 적절하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요구에 대해서는 "(연준의 업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파월 의장은 "우리는 항상 같은 방식으로 일할 것"이라며 "미국 국민의 이익을 위해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가 고려하는 것은 오직 경제 지표, 전망, 위험 균형뿐이며, 그것이 전부"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몇 주 동안 파월 의장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며 한때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파월의 해임이 빠를수록 좋다"면서 파월 의장을 강하게 성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파월 의장을 해임할 의도는 없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연준은 한편 3월 회의에서 발표한 대로 양적긴축(QT) 속도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의 월간 상환 한도는 50억 달러로 유지되며 주택저당증권(MBS) 한도로 350억 달러로 변동 없이 유지된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