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양대산맥, 지난해 영업익 절반 이상 증가
해외사업 성장 눈길…올해 ‘글로벌 리밸런싱’
해외사업 성장 눈길…올해 ‘글로벌 리밸런싱’

먼저 아모레퍼시픽그룹이다. 지난해 4조2599억원의 매출과 249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64.0% 증가했다. 해외사업의 성장이 크게 작용했다. 특히 서구권의 성장세가 눈길을 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해외사업에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며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추진의 결과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넘어서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해외사업의 경우 서구권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뤄내며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조678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주 지역에서는 립 트리트먼트 부문 1위를 수성한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의 고성장과 함께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로 매출이 83%나 증가했다.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등 주력 브랜드가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 사이버 먼데이’ 행사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EMEA 지역에서도 영국의 ‘Boots’와 ‘ASOS’에 입점하며 채널을 다변화한 라네즈가 세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가 더해지며 전체 매출이 3배나 확대됐다.
LG생활건강도 뷰티사업의 성장을 알렸다. LG생활건강의 뷰티사업은 지난 한 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다. 지난 4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4% 증가한 6994억원, 영업이익은 50.3% 증가한 110억원을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은 2조8506억원, 영업이익은 1582억원으로 전년 각각 1.2%, 8.0% 증가했다.
중국과 북미, 일본 등 해외사업이 호조를 보였다. 중국에서 호실적을 달성한 ‘더후’가 럭셔리 브랜드 입지를 강화했고,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는 ‘더페이스샵’, ‘빌리프’, ‘CNP’ 등 전략 브랜드의 매출이 확대됐다.
중국 광군제, 미국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일본 큐텐 메가와리 등 해외 주요 온라인 행사와 연계한 마케팅 투자가 늘어났지만 전반적인 매출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 역시 개선됐다.
◇ 아모레피시픽‧LG생활건강, ‘글로벌 리밸런싱’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2025년에도 해외사업에 힘을 싣는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리밸런싱’이 공통 키워드다.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리밸런싱을 가속화하기 위해 주요 전략 시장인 미국, 일본, 유럽, 인도, 중동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중국 시장의 구조적 정상화도 진행하고 있다.
LG생활건강도 K뷰티 저력을 높인다는 포부다.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올해 중점 사업 전략으로 ‘글로벌 사업 재구조화(리밸런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미주 시장에서는 빌리프, CNP, 더페이스샵 브랜드를 중심으로 영 제너레이션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을 보강하고 마케팅 투자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특히 “아마존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채널에서의 퀀텀 점프와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북미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에서 더페이스샵 미감수 라인, CNP 립세린 등이 좋은 성과를 내면서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김수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imk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