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정부의 커넥티드카 중국 기술·제품 사용 규제 움직임과 관련해 범위를 최소화 해달라고 제안했다. 미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최대 시장에서 차량 생산·판매가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지난달 30일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한국 자동차 업계는 커넥티드 차량 공급망 조사의 넓은 범위, 잠재적 규제 대상의 범위를 둘러싼 불확실성, 시행 시기가 업계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산업안보국이 제안한 커넥티드 차량의 정의는 모든 종류의 차량과 부품을 포괄할 수 있을 만큼 광범위하다"며 "전선이나 LED, 브래킷, 볼트 등 커넥티드 차량의 다양한 부품 가운데 일부는 새 규칙의 목적과 아무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커넥티드카는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네비게이션, 자율주행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를 일컫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29일 커넥티드카에 중국 등 우려국가의 기술을 쓸 경우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 위험이 있다면서 상무부에 조사를 지시했다. 이에 상무부는 우려국가의 소유, 통제, 관할에 있거나 지시받는 커넥티드카에 '정보통신 기술 및 서비스(ICTS)' 탑재를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우려국가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쿠바, 베네수엘라 등 6개국이나 이 중 미국에 자동차를 수출할 능력이 있는 국가는 사실상 중국뿐이다.
미국 정부의 조치가 어떤 수준에서 나오는지에 따라 중국산 부품을 쓰는 글로벌 완성차 제작사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는 배경이다. 커넥티드 차량은 자율주행이나 고도화된 주행보조 기술은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차량 제어, 내비게이션 등 이제는 보편화된 기능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내비게이션, 자율주행,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를 일컫는다.
이와 관련해 세계의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현대차그룹과 비슷한 의견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