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닭고기 공급 확대 요청에 화답…종란 240만개 수입해 입식 확대

18일 하림에 따르면 8월21일 주차부터 미국(또는 EU)에서 주간 30만개 종란 수입을 진행한다. 8주간 총 240만 개를 수입해 공급할 예정이다. 종란을 수입해 이를 육계로 출하하기까지 최소 55일이 소요되는데 오는 8월 본격적으로 입식 물량을 확대할 경우 10월부터 시장에 공급될 예정이다.닭 공급이 확대되면 사육농가의 사육회전이 높아지면서 농가수익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림은 육계 공급 부족에 대한 정부의 닭고기 공급 요청에 적극 협조하고 농림축산식품부의 생산량 확대 계획에 동참하기 위해 지난해 8월(1차), 12월(2차)에 이어 올해 4월(3차) 물량 확대 방안을 마련해 진행해 왔다. 올해 7월(4차)에도 육계 공급을 확대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종란 수입을 통해 닭 공급을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장기적으로 공급 불안요소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계열화사업자 10여 곳과 ‘닭고기 공급확대를 위한 수급조절협의회’를 진행했다. 올해 상반기 육계공급 부족에 따른 닭고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 물가 안정화 방안을 찾기 위해서였다.
닭고기 공급 부족 현상은 올해 초 AI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515만 마리(25개 농장 및 부화장)의 닭 및 종란이 살처분 되면서 시작됐다. 동시에 이상 기온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육계 공급이 줄어든 데다 국제 곡물가 인상과 환율 상승으로 닭고기 사육원가 부담이 늘면서 사육농가의 입추가 감소됐다.
정호석 하림 대표는 “닭고기 수급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 확대 계획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종란 수입 확대 및 병아리 입추 증대로 정부 정책에 동참해 육계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jkim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