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셀 아메리카' 공포 확산...달러·국채·증시 동반 위기로 美 자산 '엑소더스'

미 국채와 달러화 '위험 피난처' 아니다는 인식 확산, 기축통화 지위 흔들릴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전쟁을 시작한 이후 달러·국채·증시가 동시에 흔들리면서 미국에서 자산 엑소더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한 트레이더 모습.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전쟁을 시작한 이후 달러·국채·증시가 동시에 흔들리면서 미국에서 자산 엑소더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한 트레이더 모습.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전쟁에 돌입한 이후 미국이 '셀 아메리카(Sell America)' 위기로 치닫고 있다. 미국 달러·국채·증시가 동시에 흔들리면서 미국에서 자산 엑소더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관세 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속에 미 국채가 더는 안전자산 역할을 못 하고,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미 국채와 달러화가 더는 위험피난처(safe-haven)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주 달러화 가치는 3주 연속 내렸다. 미 국채 장기물에 대한 투매 현상도 나타났다. 지난 11일(현지 시각) 기준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DXY)는 전주 대비 3.132포인트(3.04%) 급락한 99.784에 거래를 끝냈다. 달러인덱스가 100선을 밑돈 것은 2023년 7월 이후 처음이다.

미 경제전문지 마켓워치는 13일 “셀 아메리카 트레이드 열풍이 워싱턴과 월스트리트를 흔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달러화와 미 국채 약세는 외국 투자금의 종착지였던 ‘미국 브랜드’에 대한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으며 이런 현상이 회복 불능 사태로 치달을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도 “국채 시장에 잠깐 문제가 있다”며 한국 등에 대한 상호관세 발효를 90일 연기했었다.

일반적으로 주식 하락장에는 투자자가 안전자산에 몰려 미국 국채와 달러 가치가 오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으로 인플레이션이 다시 오르고, 미국이 연내에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월가에서 나오자 미국 국채와 함께 달러 가치가 흔들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몇 년간 미국은 다른 나라보다 더 빠른 성장과 기술 발전, 풍부하고 저렴한 에너지로 미국은 다르다는 미국 예외주의를 누려 왔으나 이제 외국인 투자자에게 미국은 안전하지 않은 나라가 됐다”고 지적했다.

마켓워치는 “일본과 중국에서 미국 국채 매입을 중단하거나 즉각 매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있으나 아직 그 증거가 나오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마켓워치는 “미 증시가 언제 투자자들이 ‘피크 불확실성(Peak uncertainty)’이 지나갔다고 여기는 때가 와야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조처를 한 것은 그가 금융시장 동향을 의식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미 경제 매체 포브스는 13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대한 허장성세(虛張聲勢)에 따른 자본 유출을 투자자들이 외면할 수 없게 됐다”고 보도했다. 포브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립정책으로 미국 내에 있는 투자금이 다른 나라로 빠져나가고 있다”면서 “미국 뉴욕 증시가 오랫동안 다른 나라를 압도했으나 올해는 그 추세가 바뀌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경제 전문 채널 CNBC도 이날 “미국 자산 엑소더스에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미 금융시장에서 4월에 나타난 투매 현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국의 장기적인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고 짚었다. 엑소더스는 사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모든 나라에 대한 보편관세와 한국을 비롯한 57개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기 이전부터 시작됐다고 이 매체가 강조했다. 미국이 모든 국가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시작했고, 현재의 대결 상태가 장기화되면 외국에서 반미 감정이 고조될 것이라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