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 여파에 수입 건설자재 가격 줄줄이 인상
환율 후반영되면 공사비 상승 압박 커져
환율 후반영되면 공사비 상승 압박 커져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건설용 중간재 수입 물가 상승률은 환율이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11월 6%를 기록한 뒤, 12월 9.2%, 올해 1월 8.6%, 2월 6.9%로 집계됐다.
환율 상승이 자재비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에 국내 건설공사비지수(2015년 100 기준)도 지난해 12월 130에서 올해 1월 131, 2월 131.04로 상승했다.
국내 건설산업에선 목재와 석제품 등을 제외하면 완제품 수입 비중이 크지 않다.
하지만 건설자재 원재료의 경우 수입 비중이 커 환율 상승이 직간접적인 공사비 상승을 초래한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건정연) 연구위원은 “수입 자재는 연간 또는 반기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아 환율 상승 영향이 후반영되면서 앞으로 공사비 상승 압박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여기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에 따라 공급망 안정성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공급망이 흔들리면 수입 자재 확보에 차질이 생겨 자재 수급이 지연될 수 있고, 이는 입주일이 정해진 주택 공사 현장에서 공기(工期) 지연으로 이어져 법적·금전적 부담을 키울 수 있다.
박 연구위원은 “대체재가 적거나 수입 의존도가 높은 자재, 재고 관리가 어려워 주문 후 생산되는 자재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