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수도권 아파트값 역대 최대치 하락…전세도 약세 지속

1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종합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81% 떨어졌다.
이는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2월 -1.39% 이후 13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전국과 수도권 아파트값 역시 부동산원 시세 조사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하락했다.
전국(-0.77%)과 수도권(-1.02%) 주택 종합 매매가도 한달새 낙폭이 확대되면서 2008년 12월(-0.78%, -1.17%)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전월 대비 1.10%, 인천은 1.29% 떨어져 월간 하락 폭이 1%를 넘으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최근 이달까지 세 차례에 걸쳐 규제지역을 풀었다.
하지만 지난 9월 말 조정대상지역 등에서 풀린 5대 광역시와 지방은 각각 주택 가격이 0.88%, 0.55% 내렸다.
이처럼 내림 폭이 확대되면서 규제지역 해제가 효과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가격도 속절없이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주택 종합 전셋값은 서울이 0.96% 내려 전월(-0.45%)의 거의 2배 수준으로 낙폭이 확대됐다. 인천(-1.36%)과 경기(-1.39%) 역시 전월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이는 최근 거래 절벽으로 매매가 이뤄지지 않아 전월세로 돌려 내놓는 물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전세 수요가 월세 수요로 전환되면서 전세 물건이 적체되는 모습이다.
월세마저 오름폭이 둔화하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종합 월세 가격은 전월 대비 전국이 0.05%, 서울이 0.09% 올라 전월(각 0.10%)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최환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gcho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