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트럼프와 방향 다른 연준 금리정책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Fed·연준) 의장이 11일(현지 시각)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Fed·연준) 의장이 11일(현지 시각)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정책이 오리무중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의회 청문회에 참석해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다.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인플레이션도 2% 목표치를 웃돌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연준에서 중시하는 지난해 1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2.6% 올랐다.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도 2.8%로 3개월째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더 낮아졌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 예측자료를 보면 5월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79%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미 국채 금리는 상승세다. 미국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와 세계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다.
미 국채 금리 상승은 국내 은행채 금리와 주택담보대출 금리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장기적으로 보면 대출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달 4.8%까지 치솟은 상태다. 기준금리 인하기에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국채를 매입한 결과다.

영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4.8%를 돌파했다. 2008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도 2.5%대다.
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도 1.196%로 14년 만의 최고치다. 재정적자가 늘어나면 추가 국채 발행에 나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늘어나는 공급을 수요가 따라가지 못하면 금리는 뛰기 마련이다.

문제는 당분간 미 국채 금리 상승을 막기 힘들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불법이민 추방과 관세장벽은 국채 금리를 끌어올릴 요인이다. 감세정책도 마찬가지다. 세수를 메꾸려면 국채를 계속 발행해야 하는 처지다.

월가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올해 중 5%대로 오를 게 확실하다고 내다본다. 트럼프 행정부와 연준 간 금리정책 갈등은 세계경제에 또 따른 리스크 요인이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할 때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