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실질소득 까먹는 먹거리 물가

기사입력 : 2024-05-27 18:27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7개 분기째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나며 소비자 부담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시내 한 음식점에 메뉴와 가격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7개 분기째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나며 소비자 부담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시내 한 음식점에 메뉴와 가격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톱3 수준이다.

튀르키예와 아이슬란드 다음이다. 먹거리 물가는 사과와 배 가격을 필두로 폭등세를 보이더니 이제는 조미료·빵·과자 등 안 오른 품목을 찾기 힘들 정도다.
원인도 거창하다. 기후변화로 인한 원자재 가격 인상에서 환율 등 어찌할 수 없는 대외 변수들이다. 먹거리에 저항할 수 없는 소비자들만 피해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먹거리 물가가 오르다 보니 실질소득은 줄고 있다. 가공식품이나 외식물가 상승률이 명목소득 증가율을 크게 웃돌기 때문이다.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을 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 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늘어난 수치다. 가처분 소득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같은 기간 외식물가 상승률 3.8%나 가공식품(2.2%)의 절반 정도다.

외식 품목 39개 중 37개가 가처분 소득보다 더 올랐다. 햄버거(6.4%), 비빔밥(6.2%), 김밥(6.0%), 냉면(5.9%), 오리(5.8%), 떡볶이(5.7%), 도시락(5.7%), 치킨(5.2%) 등 대표적인 서민 음식을 망라한다.
20% 이상 오른 설탕과 소금 외에도 수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은 정률로 인상한 모양새다. 물론 유산균·김치·라면 등 가격을 내린 품목도 있다.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 소득을 앞선 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다. 게다가 기후변화도 농산물 가격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앞으로 물가 불안이 더 심해질 수 있음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먹거리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로서는 기후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눈치도 봐야 하는 상황이다.

물가가 올라도 경제가 성장하면 아무 문제 없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당국이나 소비자의 무대응은 먹거리발 스태그플레이션을 앞당기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전기차 고민이라면? 그냥 아이오닉 5 사~! 2024년형 아이오닉 5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