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 최초의 엑스알피(XRP) 현물 ETF가 나스닥 상장을 앞두고 신규 기관 수요와 기존 대규모 보유자의 매도 가능성이 정면 충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포테이토가 13일(현지시각) 분석한 바에 따르면, 카나리 캐피털의 ‘카나리 XRP ETF(XRPC)’는 미국 증권법 1933년 조항에 따라 설계됐으며, 12일 나스닥이 공식 상장 공지를 내면서 출시 절차가 모두 마무리됐다.
전문가 에릭 발추나스와 네이트 제라치는 폼 8-A 제출이 등록을 자동 승인시키는 마지막 관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번 ETF는 투자자에게 개인 지갑 관리 없이 XRP에 접근할 수 있는 전통 금융 상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여기에 미국 상원 농업위원회가 11월 10일 공개한 초당적 법안 초안은 XRP와 일부 암호화폐를 상품으로 규정하고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관할로 두는 내용을 담고 있어 규제 명확성이 강화되는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호재 속에서도 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온체인은 시장의 낙관론과는 다른 신호를 포착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7일 기준 XRP의 바이낸스 순유입 규모가 1075만 달러로 돌아섰다. 크립토온체인은 이를 “대규모 보유자들이 ETF 도입 기대감을 활용해 매도 준비에 나서는 전형적 패턴”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두 가지 가능을 동시에 제기하고 있다. ETF 유입 자금이 매도량을 모두 소화해 추가 상승을 촉발하는 시나리오와, 장기 보유자들이 유동성 확대를 매도 기회로 활용하면서 시장에 강한 변동성을 유발하는 시나리오다.
매체는 “첫 거래일의 거래량 흐름과 주요 저항선 반응이 당일 시장 성격을 결정할 핵심 지표가 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