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전기요금 급등…데이터센터·노후 전력망 겹쳐

지난 2017년 11월 8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도심의 일출 무렵 송전탑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7년 11월 8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도심의 일출 무렵 송전탑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주요 지역의 전기요금이 크게 오르고 있으며, 특히 동부 뉴저지주의 8월 소매 전기요금이 전년 대비 19% 급등하면서 전국 평균인 6%를 크게 웃돌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신설이 급증하면서 일부 지역 전력수요가 폭증했고 노후 발전소 폐쇄 지연과 신규 발전설비 확충 지연이 겹치며 공급 부담이 커졌다.

여기에다 전력망 업그레이드 비용까지 가세해 요금 인상 요인이 중첩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력계통 운영사 PJM 인터커넥션이 관리하는 동부 지역은 데이터센터 집중으로 전력도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이는 각 주 규제당국 인가 후 소비자 요금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의 에너지경제학자 메리디스 파울리는 “전기는 대체제가 거의 없어 소비자들이 선택할 여지가 적다”고 말했다.

전기요금 급등은 가계와 기업, 정치권으로 파급되고 있다. 전국에너지보조국협회(NEADA)는 올해 전기요금 체납으로 인한 단전 사례가 400만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3년보다 33% 증가한 수치다.

메인주의 경우 겨울 폭풍으로 손상된 송전선 복구비용이 전기요금에 반영돼 올해 8월 기준 요금이 전년보다 23% 상승했다.

뉴저지 주지사 선거에서도 전기요금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공화당 잭 치아타렐리 후보는 지역 탄소감축 프로그램 탈퇴를 통한 요금 인하를 민주당 미키 셰릴 후보는 전기요금 비상사태 선포 및 요금 동결을 각각 공약했다.

WSJ는 “전기요금 위기가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인식을 크게 바꿔놓았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