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상하이, '세계 최고 조선 허브' 도약 선언… LNG 등 '고부가가치' 집중 육성

창싱 섬 증강 계획 발표, 3년 내 167억 달러 목표… 美 규제 속 '주도권' 재확보 시도
글로벌 신규 주문 점유율 한국에 '역전'… 하이테크 선박 개발로 '맹추격'
상하이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운송 항구라는 위상에 더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모델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상하이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운송 항구라는 위상에 더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모델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금융 중심지 상하이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운송 항구라는 위상에 더해, 이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모델에 집중하며 세계적 수준의 조선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규제로 인해 한국이 선박 주문에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첨단 해양 시설 개발을 통해 글로벌 조선 산업의 주도권을 재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고 18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상하이 시 정부는 양쯔강 남쪽 하구를 가로질러 양산 심해 항구 근처에 위치한 창싱 섬(Changxing Island)에 조선소를 증강할 계획을 발표했다. 상하이항의 주요 구성 요소인 양산 시설은 대형 선박에 대한 해상 시험을 진행하는 곳이다.

최근 발표된 문서에 따르면, 이 클러스터에서는 LNG 운반선,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등 첨단 선박이 전체 산업 생산량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이 정부는 이 조선 클러스터가 3년 내에 1,200억 위안(약 167억 1천만 달러, 한화 약 23조 600억 원)을 넘어서는 산업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 정부는 "목표는 하이테크 선박 개발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고급 해양 장비 제조를 위한 세계적 수준의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창싱 섬 클러스터는 "기술 혁신을 위한 글로벌 강국" 역할을 하고, 2027년까지 10가지 이상의 첨단 선박 및 해양 엔지니어링 장비를 개발하며, 최소 3개의 주요 국제 기관을 유치해야 한다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야심 찬 계획은 중국이 미국의 산업 억제 정책과 세계 2위 및 3위 조선 강국인 한국과 일본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글로벌 조선 공급망에서의 지배적인 위치를 재확보하려는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해양 컨설팅 회사 클락슨 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중국 조선소는 2024년 신규 주문의 70%를 수주했으며, 총 주문량은 4,645만 톤의 보상 총 톤수(CGT, 선박 건조를 위해 수행된 작업의 척도)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자랑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에 중국 조선소는 업계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미국의 새로운 제한 조치에 따라 신규 주문 점유율이 감소한 반면, 한국 조선소는 입지를 공고히 했다.
클락슨 리서치 데이터를 본지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상반기 신규 주문의 56%를 확보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75%에서 감소한 수치다.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14%에서 30%로 두 배 이상 증가하며 중국을 바짝 추격했다.

창싱 섬은 이미 중국에서 가장 크고 가장 진보된 조선 기지 중 하나다. 상하이 정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이 섬의 산업 생산량은 8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이 섬에는 중국국가조선공사(China State Shipbuilding Corporation, CSSC)의 자회사인 장난조선소(Jiangnan Shipyard)와 후동중화조선그룹(Hudong-Zhonghua Shipbuilding Group)과 같은 주요 조선소들이 위치해 있다.

이들 조선소는 극지 연구용 쇄빙선 '쉐룽(雪龍) 2호'와 최대 7,800대의 차량을 운송할 수 있는 자동차 모함 등 중국의 최첨단 선박들을 생산해 왔다.
상하이의 이번 조선 산업 확장 계획은 중국이 기술 혁신과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미국의 견제에 대응하며 장기적인 해양 전략을 실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