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중심 무역 정책과 중국의 내수 중심 성장 전략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세계 경제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오히려 미국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고 28일(현지 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트럼프가 제안한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미국 가정은 연간 2600달러 이상의 추가 부담을 지게 될 전망이다. 특히 전자제품, 가구, 의류 등 소비재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이미 한계를 드러낸 바 있다. 2018년 중국과의 무역적자는 4190억 달러로 오히려 증가했으며, 미국 제조업체들은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쟁력이 약화됐다.
반면, 중국은 수출 중심에서 내수 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 4억 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중산층을 바탕으로 소비 강국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사회안전망 확충을 통해 소비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에너지 효율 가전제품 등에 대한 세제 혜택과 보조금을 통해 소비를 진작하고 있다. 또한 의료, 연금 프로그램 확대로 가계 저축 수요를 줄이고 소비를 늘리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의 기회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대신 인프라 투자, 공급망 현대화, 녹색기술 및 첨단 제조업 연구 지원 등 장기적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특히 중국의 소비 중심 전환은 글로벌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국의 중산층은 명품에서 첨단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소비 시장으로 부상했으며, 친환경 소비 강조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의 내수중심 전환이 한국 경제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국의 경제정책 변화에 대응한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에서 연간 200억 달러 이상의 타격이 예상된다. 반면 중국의 내수시장 확대는 새로운 수출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장벽에 대비한 수출시장 다변화와 함께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프리미엄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해야 한다. 단순 제조·수출에서 벗어나 기술집약적 산업 육성이 시급하다.
둘째,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친환경·헬스케어·프리미엄 소비재 시장이 유망하다.
셋째,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 동남아·인도 등으로 생산기지 다변화를 검토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관계자는 "업종별 맞춤형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특히 중소기업의 수출시장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계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리스크에 대비한 현지 생산 확대와 함께 중국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양국의 경제정책 변화는 한국 경제의 체질 개선을 요구하는 계기"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