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기자수첩] 제3연륙교 명칭, ‘청라하늘대교’ 확정은 '소통의 산물'

인천의 갈등과 상생, 행정 일관성 필요했던 시간
김양훈 기자
김양훈 기자
인천 제3연륙교 명칭을 둘러싼 논쟁이 지난 12일 ‘최종 명칭은 청라하늘대교’로 확정됐다. 인천시 지명위원회가 지난 7월 이미 의결한 이름이었지만, 중구와 서구가 재심의를 요청하면서 불붙은 갈등은 넉 달 넘게 이어졌다.
그동안 시민들의 여론은 뜨겁게 들끓었고, 지역 커뮤니티와 SNS는 살아 있는 ‘타운홀 미팅’이었다. 이번 결정은 인천 행정·정치·지역 공동체가 어떤 방향을 선택했는지 보여준 사례로 명칭 논쟁은 처음엔 가벼운 민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지역감정과 자존심의 충돌로 번졌다. 중구는 “영종하늘도시를 빼면 존재감이 사라진다”라며 “‘영종하늘대교’ 주장은 강력했다. 이에 서구도 청라의 정체성을 무시할 수 없다”며 ‘청라대교’를 요구했다.

두 지역 모두 나름의 논리가 있었다. 문제는 각 구 의원들이 정치적 언어를 더하며 갈등이 과열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일부는 “인천시가 특정 지역 편만 든다”라며 “원도심 소외” 등을 꺼내 들었고, 결국 논란은 감정전으로 확대됐다.
결과의 시민 여론은 둘로 쪼개졌다. 중구 주민들은 “공항도, 세계 관광객도 영종으로 들어오는데 왜 우리가 빠져야 하느냐”고 했고, 서구 주민들은 “교량 시작점은 청라다. 청라를 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맞섰다.

지역 간 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촉진해야 할 인프라 정책이 오히려 갈등을 낳은 셈이다. 명칭을 정하는 과정에서 시민들이 가장 많이 한 말은 이것이다. “이 정도 문제를 가지고 몇 달을 싸우나, 다리는 지어지고 있는데 이름 때문에 행정이 멈춘다”라고 했다.

실제로 주민들은 피로감이 커지면서 점점 ‘무관심’으로 이동했다. 시민들은 교량 명칭보다 통행료 무료 여부, 개통 시기, 서울 접근성 개선 효과에 관심이 컸다. 이름을 두고 행정이 흔들리는 모습은 인천시 전체 이미지에도 상당한 부정적인 신호였다.

이번 결정은 인천시에 숙제를 남겼다. 시민들은 이름보다 ‘신뢰할 수 있는 행정력’을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더 분명히 보여준 것이다. 시는 양 구의 요구를 절충해 다시 ‘청라하늘대교’를 확정했다. 명칭은 서구의 ‘청라’와 중구의 ‘하늘(영종하늘도시)’을 결합한 형태다.
일각에서는 “어정쩡한 절충”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다수는 “현 상황에서 가장 덜 갈라지는 선택”이라고 본다. 특히 여론조사와 온라인 커뮤니티 분위기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많았다. “이제는 이름 뭐든 빨리 개통이나 해라.”라고 말한다.

영종·청라 모두 들어갔으니 크게 문제는 없다. 다만 인천이 서울과 경쟁하려면 내부 갈등부터 줄여야 한다. 시민 감정은 ‘어느 한편의 승리’가 아니라 “이제는 제발 갈등을 멈추자”라는 평범한 상식의 목소리였던 셈이다.

이번 논란의 본질은 명칭이 아니라 인천의 미래 리더십이다. 인천이 글로벌 톱텐 도시를 향해 가려면 행정과 정치권이 더 단단해져야 한다. 지역 간 갈등을 조정하고 중재할 능력, 시민들이 체감하는 명확한 정책 목표이다.

이 세 가지 없이는 인천의 대형 프로젝트들은 앞으로도 같은 논란을 반복할 것이다. 청라하늘대교는 단지 한 개의 교량이 아니다. 인천의 경제, 인천의 자존심, 인천의 미래가 걸린 상징적 인프라다. 이제 논란은 끝났다. 미래를 향해야 한다.
아울러 명칭 확정은 갈등의 종지부를 찍었고 인천의 변화는 미래를 보아야 하기에 ‘청라하늘대교’가 분열의 흔적을 씻고, 영종과 청라를 잇고, 인천의 관문이자 대한민국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부활의 다리로 “인천의 미래”의 길이 되길 기대한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