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인천시, 국내 최초 ‘2025 유엔 글로벌 도시상' 수상 영예

전 세계서 지속가능 도시 모델로 인정 받아
UN 세계도시의 날 기념식서 글로벌 모범사례
유엔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도시로 공식적 등재
인천시가 국내 최초로 ‘2025 유엔 글로벌 도시상을 수상(황효진 정무부시장)한 모습.   사진=인천시이미지 확대보기
인천시가 국내 최초로 ‘2025 유엔 글로벌 도시상을 수상(황효진 정무부시장)한 모습.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국내 최초로 ‘2025 유엔(UN)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도시상(Shanghai Award)’을 수상하며 전 세계에서 주목하는 도시 모델로 선정됐다.
2일 시에 따르면 이번 수상은 지난 달 31일(현지시각)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2025 세계 도시의 날(World Cities Day)’ 기념식에서 발표됐다.

‘유엔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도시상(Shanghai Award)’은 유엔해비타트(UN-Habitat)와 중국 상하이시가 공동 제정해,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가능발전 성과가 뛰어난 도시를 선정·시상하는 권위 있는 국제상이다.

2023년 첫 시행 이후 올해로 3회째를 맞았다. 올해는 인천을 비롯해 △핀란드 에스포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 △콜롬비아 보고타 △알제리 알제가 함께 수상 도시로 선정됐다.
이번 시상에는 총 85개 도시가 경쟁에 참여해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인천은 최종 후보 15개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된 뒤, ‘경제성장과 기후회복력을 결합한 Global Top 10 City Project’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시는 포용적 도시 구현을 위한 다양한 혁신정책이 수상 배경으로 꼽혔다. 대표적으로 ‘천원주택’ 정책은 저출산 대응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모델로, 2025년부터 매년 1,000호 규모 공급이 예정돼 있다. 올해 500호 모집에서는 7.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시민들의 폭발적 관심을 받았다.

또한 ‘지능형 교통체계(ITS)’ 구축으로 도시 전역의 교통정보 통합 관리 및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 등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 조성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시는 2013년 GCF(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유치하며 기후금융과 녹색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앞서 2022년에는 ‘2045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선언해 북큐슈, 방콕 등 주요 도시로 확산되는 선도적 기후정책 사례를 만들어냈다.

이와 함께 2008년부터 몽골 조림활동을 지속해 UNEP(유엔환경계획)의 ‘10억 그루 나무 심기 캠페인’에도 꾸준히 기여해왔다.

수상 다음날(11월 1일), 인천시는 콜롬비아 ‘아고라 보고타 컨벤션’에서 열린 ‘도시 네트워크 특별 세션’에 참여해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인천의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성과와 ‘신도시의제(NUA)’ 추진 현황을 소개하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성과는 ‘Shanghai Manual 2025 연례 보고서’에도 수록돼 10월 31일 세계 도시의 날에 공식 공개됐으며, UN-Habitat의 NUA 플랫폼(urbanagendaplatform.org)에도 등재되어 세계 각국 도시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글로벌 사례로 확산될 예정이다.

한편, 글로벌 컨설팅 기업 커니(Kearney)가 10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 글로벌 도시전망(GCO)’과 ‘글로벌 도시지수(GCI)’에서 인천은 각각 55위와 84위에 오르며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수상은 인천의 지속가능발전 성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쾌거”라며 “앞으로도 ‘Global Top 10 City INCHEON’을 목표로, 시민이 체감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