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수익 부진 속 적자 폭 줄이고
투자이익으로 방어…3년째 성장세
생보업권 투자이익 성장세 이어가
투자이익으로 방어…3년째 성장세
생보업권 투자이익 성장세 이어가
이미지 확대보기생보업권 본업이 주춤하지만 신한라이프는 높은 투자이익 성장세로 실적을 방어했다. 3분기까지 신한라이프의 투자이익 규모는 이미 전년 실적을 넘어서 4분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라이프의 2025년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별도)은 5145억원으로, KB라이프(2548억원), 동양생명(1099억원), 하나생명(177억원) 등 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3곳의 실적 합산을 넘어섰다.
신한금융의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조4609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순이익(4조4502억원) 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3분기까지 지주 내 신한라이프의 기여도는 11.5%(단순계산)에 달한다.
신한라이프는 당초 비은행 계열사 1등이던 신한카드의 실적마저 뛰어넘었다. 신한카드의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3804억원으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등 영향을 받아 실적이 주춤했다.
신한라이프의 성장세는 투자이익이 견인했다. 최근 3개년 투자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656억원에서 2024년 1544억원까지 올라왔으며, 3분기 누적 기준 규모는 1789억원을 기록했다.
신한라이프 측은 “주식시장 호조에 따르면 유가증권 및 변액 관련 금융 손익의 증가 영향”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보험이익은 2023년 6719억에서 지난해 6640억원까지 내려왔으며, 올 1~3분기 기준으로는 5738억원을 기록했다. 보험업권 관계자는 “생보사 주력 상품인 종신보험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면서 대부분 회사가 보험이익 대체 상품을 찾는 과정에 있어 보험이익 지표에 변화가 클 수 있다”고 말했다.
기대해볼 점은 보험사의 수익성 지표인 보험서비스계약마진(CSM)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CSM은 향후 예상되는 이익의 현재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험 손해율, 유지율 등 주요 변수를 회사가 예상해 결정한다, 해당 지표가 클수록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신한라이프의 올 1~3분기 CSM은 7609억2000만원으로 지난 2024년 연간 수치(7226억8000만원)를 이미 넘어섰다. 연중 성장률은 5.3%다.
한편 신한라이프는 지난 2023년 이영종 사장의 대표이사 취임 후 한화생명, 나아가 교보생명의 실적을 넘어서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이중 한화생명 역전은 연내 현실화될 조짐이 보여 신한라이프의 ‘막판 스퍼트’가 기대되고 있다.
한화생명과 신한라이프의 반기 순이익(별도) 차는 단 242억원이다. 이 기간 신한라이프의 순이익은 6%대 증가했으나 한화생명은 48% 넘게 급감했다. 신한라이프가 하반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한다면 삼성생명, 교보생명에 이어 생보사 3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한화생명은 아직 3분기 실적 발표를 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신한라이프는 시니어케어 전담 자회사인 신한라이프케어와 연계한 시너지 창구가 다각화돼 있다”라며 “치매·요양 등 보장성 상품 확대를 통해 수익성과 서비스 강화 두 토끼를 잡으려는 움직임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