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외환시장 점검] 혼돈의 외환시장, 위기인가? 해프닝인가?

"연내 최소 1%p"···한미 금리 역전,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
외환보유액을 둘러싼 엇갈림···"충분한가? 부족한가?"
경기침체 우려를 높이는 변수···'적자의 늪'에 빠진 무역적자

신민호 기자

기사입력 : 2022-09-26 14:08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초공격적 긴축에 원·달러 환율이 1430원을 돌파하는 등 외환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코스피 역시 2230대까지 떨어지는 등 증시 역시 부진에 빠졌다.

하지만 정부와 외환당국은 대외건전성 면에서 양호하다며 안심하라고 호언장담한다. 그들의 말대로 과거 외환·금융위기 당시 대비 외환보유고 등은 크게 늘었다. 그럼에도 외국인 투자자금은 빠져나가며 환율 천장은 어디인지 가늠조차 되지 않고 있다. 정부와 당국의 말이 맞는가? 아니면 국내경제가 위기 상황에 처한 것인가? 현재 국내 경제 주요 이슈를 되짚어보며 이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연내 최소 1%p"···한미 금리 역전,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


가장 우려되는 요인은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역전으로 인한 자본유출 흐름이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2.5%, 미국의 기준금리는 3~3.25%로, 상단기준 0.75%포인트 격차가 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것은 △1999년 6월~2001년 3월(1기) △2005년 8월~2007년 8월(2기) △2018년 3월~2020년 3월(3기) 세차례다. 그러나 해당 기간 중 △1기(206억달러) △2기(304억달러) △3기(403억원) 모두 외국인 자금이 순유입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외국인 자금 유출입이 기준금리차 외에도 국가 펀더멘털, 장기투자자 비중 및 글로벌 금융환경 불확실성, 지정학적 이벤트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는 탓이다. 공고해진 펀더멘털 등을 고려시 금리차 만으로 자본 유출이 빨라지진 않는다.

문제는 금리격차가 더 벌어지는 등 한미 금리역전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미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목표 금리 수준은 4.4%로 기존 대비 1%포인트 상향했다. 이는 연내 최소 1.25%포인트 이상의 금리 인상이 유력하다는 의미다.

이같은 연준의 긴축 기조가 반영되며 원·달러 환율 역시 폭발적 증가세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30원을 돌파하며, 지난 2009년 3월 17일(장중 1436원)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작년 연말 기준 환율이 1194.1원이었음을 감안하면, 9개월간 230원 이상 폭등한 셈.

이에 0.25%포인트 인상폭을 고수하던 한은 역시 기조를 바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2일 "전제 조건이 많이 바뀌었다"며 다음달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이에 연내 국내 기준금리 역시 3.25% 수준까지 인상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연말 기준 양국간 최소 1%포인트 이상의 격차가 이어질 전망이다.

김예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제 주체들이 대외 자산을 늘리는 리밸런싱으로 2012년 이래 자본 거래에서 달러화 순유출은 구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포트폴리오 투자에서는 평균적으로 200억달러가 순유출되고 있는데, 한미 기준금리 역전에 따라 채권 중심으로 순유출 압력이 커질듯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더욱이 소비지 부근에 공급망을 구축하는 행태가 강화되면서 해외직접투자에 따른 달러화 순유출 규모가 증가하는 흐름"이라며 "가장 중요한 달러 공급 채널인 상품 무역에서 달러화 유입이 부진하면서, 하반기에도 달러화 순유출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은 여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외환보유액을 둘러싼 엇갈림···"충분한가? 부족한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외환보유액은 4364억3000만달러로 전월 대비 21억8000만달러 줄었다.

외환보유고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대외 지급 준비 자산이다. 통상, 외환보유고가 감소한다는 것은 국가의 지급 능력이 저하됐다는 의미다. 또한 국가 신인도를 낮춰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의 해외 자본 조달 비용을 높이고 외국인 투자를 위축시킨다.

앞서 국내 외환보유액은 지난 3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7월 들어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6월 한달에만 943000만달러나 급감했는데, 이는 금융위기인 200811(-1175000만달러)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이에 대해 한은 측은 최근 외환보유액 감소세는 달러 강세로 인해 유로화 등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줄어든 영향으로,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정부 당국의 호언과 달리 외환보유고의 적정 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오히려 외환보유액 적정 기준으로 여겨지는 IMF와 국제결제은행(BIS)의 권고안에 비해 국내 외환보유액은 크게 못 미치고 있다.

통상 IMF는 외환보유고의 적정 수준으로 연간 수출액의 5%, 광의유동성의 5%, 유동외채의 30%, 외국인 증권투자 15%를 합한 규모의 100~150%를 제시하고 있다. 해당 기준에 따르면 2분기 기준 적정 외환보유고는 4303억7000만달러~6455억5000만달러 수준이다.

8월 말 외환보유액(4364억3000만달러)은 적정 기준을 100%로 잡았을 때 적정치의 101.4%를 충족하지만, 적정 기준을 150%로 잡았을 때는 적정치의 67.6%에 그쳐 크게 부족하다. 여기에 기준이 더 엄격한 BIS의 경우 적정 외환보유고를 7839억1000만달러로 추산하고 있어, 국내 외환보유액은 적정치의 54.9%만 충족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제가 IMF에서 왔다. IMF의 어느 직원도 (IMF 적정 기준의)150%를 외환보유액으로 쌓으라고 하지 않을 것이다"며 "외환보유액이 큰 국가의 경우 적정 기준은 의미가 없다. 150% 기준은 신흥국 대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침체 우려를 높이는 변수···'적자의 늪'에 빠진 무역적자


국내 무역수지가 이달 10일까지 누적 275억51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적자를 앞두고 있는 점은 경기 침체우려를 높이는 주요 리스크 요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무역수지가 외국인 주식 매매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무역수지가 특정 달에 적자를 기록하면, 그 다음달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순매도할 확률은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할 때보다 평균적으로 28.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역수지 감소로 원화가치가 하락시, 환차손 우려로 한국 증시의 투자매력도가 저하돼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주식에 대한 매도 압력이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한경연이 분석모형을 토대로 예측한 이달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도 확률은 75.6%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최근 무역수지 악화의 주된 원인이 높은 국제원자재 가격 영향으로 수입은 고공행진을 지속한 반면, 수출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큰 폭 둔화됐다는 점이다. 여기에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던 경상수지마저 지난달 기준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커 외환 보유 사정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한 만큼, 무역수지를 관리하는 것은 실물경제 뿐만 아니라 국내 금융시장 안정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추 실장은 "정부는 해외자원개발, 물류애로 해소 등 공급망 안정에 노력하는 한편, 무역금융 확대, R&D 세제지원 강화, 규제 개선, 신성장동력 확보 지원 등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때다"고 덧붙였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 역시 "외환보유고 감소에 관한 실질적 체감 우려는 무역 및 경상 거래 상 수지 악화에서 비롯되는 부분이 크다"며 "수출 시장 확대, 중장기적 관점에서 에너지 및 자원의 안정적 확보 노력 강화 등 정책적 노력이 실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일부에서 8월 경상수지 적자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며 "다만 9월 들어 개선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연간으로 흑자기조를 지속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럼에도 한국은행은 대외건전성에 대한 과도한 우려가 시장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파격 변신한 8세대 BMW 5시리즈...520i M sport package, "엔트리 같지 않다"
모든 걸 다 가진 차 왜건..."볼보 V90 CC, 너 하나로 만족한다"
맨위로 스크롤